12·19 대선 이후 시민단체들의 위상이 높아졌다. 노무현 당선자가 시민단체의 신년모임에 참석, 시민운동의 축적이 없었다면 당선되지 못했을 것이라며 개혁의 동반자관계를 강조한 사실에서 알 수 있듯, 시민단체의 역할은 어느 때보다 더 커질 전망이다. 우선 시민단체 인사들 중 상당수가 인수위에 들어갔다. 국민참여센터나 국민제안센터도 시민단체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하고 만들어진 기구다. 13일에는 인수위가 정책과제 발굴을 목적으로 시민단체와 간담회도 연다.그러나 지금 시민단체들이 기대에 걸맞게 활동하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 교육개혁 관련 단체들이 개최한 토론회에서 일부 참석자가 그 자리에 와 있던 인수위원이 교육개혁에 부적합한 인사라고 공개적으로 문제를 삼은 것은 잘못이다. 새 정부의 정책에 대한 검증과 비판은 당연한 일이겠지만 인선과정에까지 이의를 제기하고 사퇴를 거론하는 것은 시민단체의 몫이 아니다. 재계는 시민단체 인사들이 인수위에 들어가 있는 것부터 불안하다는 분위기다. 시민단체의 월권이나 부적절한 압력에 대한 우려 때문일 것이다.
그런가 하면 내부문제로 폭력사태까지 빚어진 곳이 있다. 100년 역사를 자랑하는 국내 최대의 시민단체 서울YMCA는 3개월 가까이 분규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시민권익 보호에 앞장서 온 시민중계실의 업무도 마비됐으니 안타까운 일이다. YMCA사태는 시민단체의 위상을 어떻게 정립하느냐 하는 문제와 관련이 깊어 추이가 주목된다.
시민단체가 건전한 개혁에 기여하려면 정부에 대해 일정한 거리와 긴장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그래야 견제와 감시, 대안 제시 등 본연의 기능에 충실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도덕성 순수성 중립성을 견지해야 한다는 점을 한 시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