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의 '대통령직 인수위'가 26일 그 골격을 드러냈다. 이날까지 발표된 위원장 및 부위원장, 7개 분과위 간사의 면면을 살펴보면, 무엇보다 새 정권의 인수위가 비정치적이라는 점이 눈에 띈다. 물론 민주당 정권 아래서 민주당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된 탓에 정권의 인수인계에 있어서도 정치적 요소가 개입할 여지가 적을 수밖에 없어서 그랬겠지만, 그렇더라도 일단 고무적이라고 평할 수 있을 것이다.과거에 있었던 인수위는 흔히 언론으로부터 '정권 인수위'라고 불렸다. 그만큼 인수위의 정치적 성격이 강했고, 그로 인해 "점령군 아니냐"는 뒷말이 있었던 게 사실이다. 그러기에 한 인수위 관계자의 말대로 이번의 경우 '정권 인수위'가 아니라 '정책 인수위'라고 불리게 된다면, 그 자체만으로도 긍정적인 변화가 아닐 수 없다. 어떤 방식으로 정권교체가 이루어지든 대통령직 인수위는 어디까지나 '정책 인수위'가 되는 게 맞기 때문이다.
또한 인수위의 주요 멤버가 노 당선자의 대선 캠프에 몸담았던 전문가라는 점도 좋아보인다. 이들은 이미 상당기간 동안 노 당선자와 함께 정책과 비전을 개발해 왔던 터라, 앞으로 일관성 있는 '노무현 정부'의 정책실현을 위해 이들이 인수위에 참여한 것은 잘된 일이다. 그래서 "인수위에 향후 5년간 국정자문을 받겠다"고 한 노 당선자의 말을 주목하게 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인수위에 개혁성향의 학계 인사가 대거 포진한 것을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어차피 노 당선자의 대선 공약이 개혁이었던 만큼 당연한 인선이겠지만, '이상을 좇다 현실을 소홀히 할 수 있다'는 염려에 대해서도 유념해야 한다. 그러기에 앞으로 있을 전문위원의 인선에 있어서는 국정현실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인사들을 영입, '현실성 있는 개혁'을 이루도록 균형을 맞추는 게 좋겠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