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쇄신을 둘러싼 당내 갈등이 증폭하고 있다. 소장파 원내·외 위원장 모임인 '미래연대'가 23일 지도부 총사퇴를 비롯한 인적 청산을 주장하고 나서면서 쇄신 논의는 세력 대 세력의 대결 양상으로 번지는 형국이다.미래연대가 퇴진을 요구한 대상은 주로 '이회창(李會昌) 체제'의 주축을 이룬 세력, 즉 영남권을 중심으로 한 민정계다. 미래연대는 "이들이 낡은 사고에 안주, 당의 변화를 막아 대선 패배를 부른 만큼 2선으로 물러나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부영(李富榮) 의원도 같은 입장이다. 미래연대 공동대표인 원희룡(元喜龍) 의원이 24일 원내 정당으로의 탈바꿈과 중앙당 및 지구당 조직의 대폭 축소를 제도적 쇄신 방안으로 내세운 것도 이를 통해 주류 세력의 조직 기반을 허물겠다는 계산이 깔려 있다.
그러나 다수파인 민정계가 호락호락 이 의원과 소장파의 압력에 밀릴 것 같지는 않다. 한 TK(대구·경북)출신 의원은 "수도권의 부진이 대선 패배의 결정적 원인이었다"며 "스스로의 책임은 외면한 채 남만 탓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반박했다.
현재의 당내 역학구도로 보아 미래연대 등의 힘만으로 민정계를 제압하기는 어렵다. 소장파와 그 동안 비주류에 머문 김덕룡(金德龍) 강삼재(姜三載) 홍사덕(洪思德) 의원 등 민주계 중진의 제휴 가능성이 점쳐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들 세 의원이 중진으로서는 드물게 원내 정당론에 적극 찬성한 대목도 공교롭다. 차기 전당대회 지도부 경선에서 소장파가 독자 후보를 내세울 만한 여건이 성숙하지 않았다는 점도 이런 관측에 무게를 더한다. 최근 복당한 박근혜(朴槿惠) 의원이 반(反) 민정계 진영의 간판이 될 수 있다는 일부 견해도 있다.
한나라당에는 이런 대립을 일정 수준에서 제어할 안전판이 없다는 점에서 돌이킬 수 없는 반목과 파경이 닥칠 가능성마저 있다. 1997년 대선 패배 직후에도 당 개혁 논의가 있었지만, 당시는 이회창이라는 '잠재적 희망'이 극단적 대결을 막은 측면이 있다. 하지만 이번에는 소장파 등이 민정계의 벽을 넘는 데 실패하면 승복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당 개혁에 돌입한 민주당을 택할 수도 있다는 소문이 무성하다.
수도권의 K의원은 "우리의 뜻이 관철되지 않으면 다음 총선에서는 표를 얻을 수 없다"며 "여의치 않을 경우 그냥 주저앉진 않을 것"이라고 말해 탈당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심지어 민주계의 한 중진도 "이념과 성향이 같은 사람끼리 정치를 해야 한다"며 독자행동 의지를 내비쳤다. 분란의 와중에 노무현(盧武鉉) 대통령 당선자의 출신지인 PK(부산·경남)의 일부 한나라당 의원이 지역 동향에 따라 민주당에 합류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유성식기자 ssyo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