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은 내리고, 저축은행은 올리고.'은행권이 가계대출 영업이 위축되자 조달비용을 줄이기 위해 예금 금리를 속속 낮추고 있는 가운데 상호저축은행은 오히려 금리를 올리며 수신경쟁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에 따라 은행과 저축은행 간 예금 금리 격차가 크게 벌어지면서 시중자금이 금리가 높은 저축은행으로 몰리고 있다.
16일 상호저축은행중앙회와 금융계에 따르면 전국 116개 저축은행의 예금총액은 한동안 제자리걸음을 하다 9월 21조6,000억원에서 10월 21조7,000억원, 11월 21조8,000억원으로 증가한 데 이어 12월에는 22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신부문이 이례적으로 매월 1,000억원 이상씩 급증하고 있는 것이다.
저축은행 수신증가의 가장 큰 원동력은 '은행보다 높은 금리'. 최근 1∼2개월 사이에 주요 저축은행들이 정기예금의 금리를 공격적으로 인상하면서 1년 이상의 정기예금 이자가 거의 7%에 달하고 있다. 은행권의 1년짜리 정기예금이 4% 대 중·후반인 점을 감안하면 2∼3% 포인트나 더 높은 셈.
1년 정기예금의 경우 서울 한신과 경기 토마토(옛 신한), 경북저축은행 등이 6.8%를 적용 중이고 서울 진흥·한국, 대영, 인천 텔슨, 충남 천안 등이 최근 6% 초반에서 6.5%로 금리를 높인 상태다. 심지어 토마토 저축은행이 선보인 15개월 및 18개월짜리 정기예금 상품의 금리는 7.0%다.
덕분에 이 은행은 수신규모가 9월말 1,120억원에서 이 달 들어 11일 현재 2,000억원을 돌파하는 기염을 토했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최근 들어 소액 신용대출이 위축되고 있지만 일수 대출이나 자영업자 대출, 유가증권담보대출 등은 크게 늘어나는 추세"라며 "이처럼 급증하는 대출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주요 저축은행들이 정기예금 금리를 앞 다퉈 높이고 있다"고 말했다.
저축은행은 소형 금융기관으로서 은행에 비해 안정성이 부족하다는 것이 단점. 따라서 재테크 전문가들은 한꺼번에 거액을 맡기는 것보다는 예금자보호 한도(1인당 5,000만원) 내에서 '분산예치'할 것을 권고한다.
예컨대 1억원을 굴리려고 한다면 서로 다른 저축은행 2∼3곳에 3,500만∼4,500만원씩 나눠서 예치하라는 것이다. 거래하던 저축은행이 영업정지를 당할 경우 한도(5,000만원)를 초과한 예금액은 고스란히 날릴 수 있기 때문이다. 가족들의 명의를 이용해 여러 계좌를 개설하는 것도 만약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이와 함께 현행법상 거래하던 저축은행이 영업정지를 당하면 고객은 당초의 약정금리 대신 시중은행의 평균 금리대로 원리금을 받도록 돼 있기 때문에 만기에 원금과 이자를 한꺼번에 찾는 상품보다는 매달 이자를 찾는 상품에 가입하는 것이 낫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변형섭기자 hispeed@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