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투표일이 7일 앞으로 다가왔는데도 부동층이 오히려 늘고 있다는 보도(한국일보 11일자 1면)가 눈길을 끈다. 투표일이 가까워질수록 부동층이 줄어드는 게 일반적 현상인데 이번의 경우는 반대다. 여론조사에서 부동층은 25%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권자 네 사람 중 한명이 아직도 지지 후보를 정하지 못했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지역적으로 충청권이 가장 많고 대구·경북과 수도권이 증가 추세이며, 연령별로는 50·60대 이상의 중·노년 층에 다수가 분포돼 있다고 말한다.각 후보진영은 부동층 증가를 아전인수격으로 해석할 게 아니라, 이러한 현상이 주는 메시지를 읽어야 한다. 선거에 대한 유권자의 관심이 식어가고 있고, 마땅한 후보가 없다는 분위기가 또 다시 일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후보들이 유권자들의 관심을 사로잡는 데 실패했다는 얘기다.
한나라당이 네거티브 전략을 수정했지만 여전히 개선해야 할 부분이 있고, 민주당도 정몽준 의원과의 완전 공조를 이뤄내지 못해 단일화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지 못하고 있다. 이회창·노무현 후보가 막판 승기를 잡기 위해 파격적 공약을 잇달아 발표하고 있지만, 실현성이 검증되지 않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미디어 선거의 결정판이라는 후보간 TV토론의 시청률도 1997년보다 20% 포인트 이상 낮다. 두 후보가 차별화로 승부를 걸기보다는, 자신의 단점을 보완하는 행보로 유권자를 헷갈리게 한 것도 하나의 요인이 됐을 것이다. 이 후보가 반미정서에 강한 목소리를 내는 것이나, 노 후보가 오히려 자제하는 모습을 보인 게 좋은 예다.
우리가 걱정하는 것은 부동층의 증가가 기권으로 연결될 가능성이다. 기권은 주권 행사의 포기이며, 선거결과를 왜곡시킬 수 있다. 각 후보 진영은 건전한 막판 대결을 통해 유권자들을 투표소로 가게 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