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농축 우라늄 핵무기 개발계획 공개와 이에 대한 미국정부의 대북 강경책으로 조성된 긴장이 정권교체기에 들어선 우리에게 적잖은 불안을 야기하고 있다. 단기적으로 중유공급중단을 비롯하여 부시 정부가 취하고 있는 강경책이 어떤 파장을 그릴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그 것이다. 또한 장기적으로 시간만 끌다가 북한이 핵무장 국가로 등장할 때 나타날 한반도 및 동북아 안보환경의 불안도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사안이다.이런 맥락에서 최근 미국정부 및 의회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북한 핵 문제의 대화 해결 주장은 매우 주목할 만하다. 그 첫째 기미가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의 세미나 연설을 통해 밝힌 리처드 루가 상원의원의 견해이다. 그는 "1994년 제네바합의 때와 마찬가지로 주변국과 협력하여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공화당 소속인 루가 상원의원은 내년 1월 개회되는 새 의회의 외교위원장에 내정된 인물이어서 그의 온건론이 정부에 적잖은 영향력을 줄 수 있다는 기대를 가질 만하다.
두 번째 변화의 조짐은 '유에스에이 투데이'지가 국무부 관리의 말을 인용보도한 미국의 협상 준비설이다. 내용은 북한이 핵 시설을 폐쇄하고 이를 확인해줄 경우 그 대가로 경유와 식량뿐 아니라 다른 지원까지 해준다는 것을 전제로 협상을 준비하고 있다는 것이 골자다. 일단 협상을 다시 시도하려는 미국내 협상파의 의지가 엿보이는 대목이다.
최근 장쩌민 중국군사위원회 주석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베이징 회담에서 북한에 핵 계획의 포기를, 미국에는 대화를 통한 해결을 촉구했다. 미국이 주변국의 협력을 토대로 북한과 협상에 나서는 것은 그냥 으르렁대는 것보다 훨씬 가치있는 일이 될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