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밤의 첫 TV 합동토론이 기대에 못 미친 중요 이유 중 하나로 토론 진행방식의 문제점이 꼽히고 있다. 선거 판세는 이회창·노무현의 양강(兩强) 구도임에도, 토론이 민주노동당의 권영길 후보까지 포함한 3자 대결로 이뤄진 점이 근본적 문제이긴 하다. 하지만 진행의 묘(妙)를 살렸더라면, 유권자 선택에 도움이 될 후보간 차별화가 보다 가능했을 것이라는 지적이 많다. 토론을 했던 후보들도 한결같이 충분한 정책을 제시하기에는 답변에 주어진 시간이 너무 짧았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사안의 경중에 관계없이 1분과 1분30초로 묶인 시간제약의 경직성과 기계적으로 돌아가는 질문과 답변 및 반론의 순서가 우선 개선돼야 할 대목이다. 남북문제와 정치개혁 등 최대 쟁점에 대해 1분30초 안에 입장과 비전을 제시하기란 사실 불가능하다. 질문수를 줄이더라도 충분히 답변할 수 있는 시간이 주어져야 하며, 사안별로 똑같이 1분30초를 할당하지 말고 답변에 필요한 시간을 총량으로 주라는 견해가 합리적으로 들린다.
세 후보에게 논쟁의 주도 여부와 관계없이 순차적으로 질문과 반론의 기회를 주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첨예한 대립을 한 후보들에게 우선 반론권을 주는 게 바람직하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후보간 적접 토론기회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도 문제로 대두된다. 3자 토론이긴 하지만 가급적 후보간 토론 기회를 많이 주라는 것이다. TV 합동토론은 법정사항으로 대통령 선거의 경우 3회 이상 하도록 돼 있으며, 각계인사로 방송토론위를 별도로 구성해 토론에 필요한 사항을 결정토록 하고 있다. 방송토론위는 10일에 있을 2차 토론회(경제분야)에 앞서 문제점을 개선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필요하면 토론 횟수를 늘리는 것도 검토해 볼 만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