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타임 최신호가 취재한 우리 대선판세 분석기사가 각별히 흥미롭다. 북한핵 문제가 대선판세를 좌우할 것으로 보는 외신 특유의 시각이 엿보이는데, 대북문제에서 '채찍'을 제시한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는 최근의 반미물결 때문에 그 채찍을 완화하여야 선거에서 이길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타임의 분석이 전적으로 옳다고 할 수는 없다. 선거란 후보들의 정책평가로만 결판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북핵문제가 선거판세를 흔들 가장 뜨거운 정책이라는 데 이견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그 기사는 부분적으로 옳다. 이후보가 젊은층의 호응을 얻으려 노력하며 그 결과 대북정책이 미국의 외교정책과 지나치게 연계되어 있다는 인상을 주지 않으려 한다는 것이 그렇다. 이후보가 4일 한낮 일산호수공원에서 젊은이들과 함께 자전거타기를 하고 한나라당이 3일부터 'SOFA개정을 위한 네티즌서명운동'(www.hannara.or.kr/)을 벌이기 시작한 것을 보면 분명 그렇다.
이후보가 젊은층의 호응을 얻으려 노력한다면, 대학교 안에 부재자투표소를 설치하는 문제에도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어떨까 싶다. 10월부터 일기 시작한 대학 안 부재자투표소 설치운동에는 시민단체도 참가했고 선거사상 처음으로 교수들이 나서서 당위성도 주장했다. 주소와 거소가 다른 지방학생을 위해 학교 안에 투표소를 설치함으로써 60만 명 지방학생의 투표율을 높여, 넓게는 젊은이들의 투표에의 무관심을 치료하자는 취지다.
운동을 벌인 7개 대학 중 투표소 설치가 결정된 대학은 서울대 연세대 두 곳. 대구대는 유동적이다. 중앙선관위는 선거법을 유연하게 적용한 결과, 세 곳에 투표소를 설치하게 될 예정이라고 말하지만 대선교수네트워크는 유연하기는커녕 선거법의 소극적 해석 결과라 반박한다. '거소'에 대한 유연한 해석, 부재자신고인 명수 예외조항에 대한 적극적 해석 없이 경직된 태도로 결정했다는 것이다.
젊은이들의 투표율을 높이기 위해 각국 정부가 묘책을 짜내는 세상이다. 강제투표권을 실시하는 나라가 20개국 이상이다. 선거교육을 위해 어린이도 정당원이 될 수 있도록 한 나라도 많다. 개인컴퓨터로 투표할 수 있게 실험하는 나라도 늘고있다. 닐슨미디어리서치가 발표한 3일의 대선후보TV합동토론시청률을 보면 젊은이들이 또 선거무관심을 보일지 모른다는 염려가 든다. 전체시청률은 38.5%지만 20대시청률은 10.3%였다. 중앙선관위도, 판사와 지방유지로 구성된 지방선관위 위원회도 한층 유연해져야 한다.
/박금자편집위원 parkj@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