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의자 구타·사망사건으로 끝내 법무장관과 검찰총장이 동반 사퇴했다. 당연한 귀결이겠지만, 검찰은 거듭되어 온 혼란상황으로 가뜩이나 제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또다시 '검난'을 맞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이번에는 정치적 사건의 처리나 검찰 내부의 비위로 인한 것이 아니고, 검찰 본연의 업무라 할 수 있는 수사활동과 관련된 것이어서 그 심각성은 훨씬 더하다. 그래서 장관과 총장이 물러나는 것으로 이번 사태를 원만히 수습할 수 있을 것인가 심히 우려되는 바다.너무도 당연한 말이지만 검찰은 '법의 수호자'로서 범죄를 수사하는 임무를 부여받음과 동시에 '인권의 파수병'이기도 하다. 그런 의미에서 검찰은 남을 탓하기 보다는 자신의 잘못을 먼저 반성하는 자세로 지금의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 우선 목적이 아무리 정당하다 해도 불법적인 방법으로 수사를 하는 관행을 이번 기회에 없애야 한다.
'범죄와의 전쟁'을 수행하는 게 더욱 어려워지고 또 실적도 줄어들겠지만 '자백이 증거의 왕'이라는 수사의 방식은 이제 벗어던질 때가 됐다. 고문수사, 밀실수사, 밤샘수사, 강압수사 등 구시대적 악습은 이제 버려야 한다.
청와대는 예기치 않게 정권 말기에 검찰 수뇌진을 교체해야 하는 국면을 맞았다. 인선에 신중을 기해야 함은 불문가지다. 대통령 선거를 불과 40여일 앞둔 시점에서 새로운 검찰 수뇌진을 놓고 또다시 정치권에서 공방이 벌어진다면 검찰 조직은 더더욱 혼란의 늪으로 빠지게 된다. 따라서 검찰 조직은 물론이고 법조계, 나아가 정치권 전반의 폭 넓은 신임을 받는 인사를 기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인사 관행에서 나타났던 '내 사람' 챙기는 식의 좁은 인식에서 과감히 벗어나야 할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