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정상들이 북한 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원칙에 합의한 것은 한반도 긴장고조 우려를 진정시키게 될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이번 핵 문제 해결을 한반도에 위기가 아닌 냉전종식의 기회가 되도록 공동노력을 기울이기로 한 것은 그 의미가 각별하다. 이는 위기를 기회로의 반전이며, 북한의 대응여부에 따라서는 한반도 문제 해결의 획기적인 바탕이 마련될 가능성이 있다.사실 북한이 핵 비밀개발 계획을 시인한 후 북한에 대한 미국의 압박이 시작될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았다. 부시 행정부내에 포진한 강경파들이 핵 개발포기를 강압할 지 모른다는 추측이 팽배했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 남북관계나 북일 관계 등도 유탄을 맞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3국 정상들은 북한을 막다른 골목으로 몰지 않는 유연성을 발휘했다.
부시 대통령은 북한을 침공할 의사가 없음을 거듭 다짐했다. 최근 핵 문제의 선결조건으로 북한이 요구한 불가침조약에 대한 간접 대답이다. 또 3국 정상들은 북한이 국제사회의 요구를 거부할 경우 어떤 제재를 가할 것인지 구체적인 응징방법에 대한 논의도 유보했다. 이는 3국 정상이 북한에 이 문제에 대한 평화적 해결의지가 확고함을 시위하는 것이다. 그 동안 예상됐던 압박 대신 유화적인 제스처는 북한으로 하여금 스스로 어떤 명확한 결론을 도출하도록 하는 고차원의 촉구 방식이 아닌가 생각된다.
3국 정상은 공동발표문을 통해 "북한이 국제사회 구성원으로서 참여의 폭을 넓히는 경우 얻을 수 있는 혜택에 대해 유의했다"고 먼저 핵 계획을 포기할 경우 북한에 여러 가지 혜택이 있을 것임을 시사했다. 이제 공은 북한으로 넘어갔다. 북한이 사태를 파국으로 몰아갈지, 아니면 미국의 '대담한 접근(bold approach)'의 수혜자가 될지 그 것은 전적으로 북한정권의 선택에 달렸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