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동양의 신화](25)자연계의 신들-②무라(武羅),하백(河伯),복비(宓妃)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동양의 신화](25)자연계의 신들-②무라(武羅),하백(河伯),복비(宓妃)

입력
2002.10.23 00:00
0 0

지상 공간 중에서 원시시대에 인류의 생활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었던 곳은 산악이다. 산악은 원시 인류에게 육류, 과일 등의 음식물과 각종의 생활 자료를 제공하였을 뿐만 아니라 동굴, 숲은 서식처가 되기도 하였다. 아울러 산악은 눈 비 구름 안개 바람 등 기상의 변화가 자주 일어나서 신비감을 자아내고 그 정상은 천상과의 통로로 여겨져 외경심을 불러일으켰기 때문에 원시 인류는 자연스럽게 산악을 다스리는 초월적 존재인 산신(山神)을 상념하게 되었다.중국의 가장 오래된 신화집인 '산해경(山海經)'은 사실상 산에 대한 신화집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무려 447개의 산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데 이 책에 등장하는 산신만 해도 수십 명에 달한다. 산신 중에서 가장 저명한 신을 꼽으라면 산 중의 산인 곤륜산(崑崙山)을 다스리는 여신인 서왕모(西王母)가 될 것이다. 중국의 올림푸스산이라 할 곤륜산은 서왕모 혼자만 사는 곳이 아니다. 그곳은 주신 황제(黃帝)의 궁궐이 있는 곳이기도 했다. 정확히 말하면 서왕모는 곤륜산의 한 봉우리인 옥산(玉山)이라는 곳에 살았는데 처음에 그녀는 형벌과 돌림병 등의 기운을 주관하는 살벌한 여신으로 알려졌다가 후세에는 불사약을 지닌 아름다운 여신으로 숭배되었다. 다음으로 유명한 산신은 남방의 신비로운 산인 무산(巫山)의 여신인 무산신녀(巫山神女)이다. 신농(神農)의 딸로 태어나 요절하여 무산의 신으로 다시 태어난 그녀는 초회왕(楚懷王)과 애틋한 로맨스를 이루기도 했다. 산신령 하면 우리는 수염이 허연 할아버지를 우선 떠올리지만 중국에는 이처럼 여성 산신이 적지 않다.

'산해경'을 보면 청요산(靑要山)이라는 곳을 무라(武羅)라는 여신이 다스리고 있다고 했다. 청요산은 주신 황제가 잠시 머무는 궁궐이 있는 곳이었다. 이 여신은 간드러진 허리에 하얀 이, 그리고 표범 무늬의 옷을 걸쳤다 하니 자태가 꽤 아름다웠던 모양이다. 그녀는 귀고리를 했는데 부딪힐 때 구슬이 울리는 것처럼 맑은 소리가 났다고 한다. 이 곳에 사는 어떤 새는 오리 같이 생기고 붉은 눈과 빨간 꼬리를 하였는데 이 새를 잡아먹으면 아이를 많이 낳을 수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이 곳에서 자라는 어떤 풀은 모난 줄기, 노란 꽃에 붉은 열매를 맺었는데 그것을 먹으면 얼굴이 예뻐졌다고 한다. 남방 초(楚) 나라의 위대한 시인 굴원(屈原)은 고향에서 산귀(山鬼)라고 부르는, 산속에 사는 여신을 이처럼 묘사했다. "저 산모퉁이에 누군가 있어, 향기로운 풀옷 걸치고 덩굴 띠를 둘렀네. 다정한 눈길과 아름다운 미소, 따뜻한 마음과 우아한 자태. 붉은 표범 탈 새 예쁜 너구리 뒤쫓는데, 목련 나무 수레에 계수나무 깃발 세웠네. 향기로운 풀들 수레에 가득 싣고, 아름다운 꽃 한 송이 꺾어 님께 보내려는가."

중국신화에 등장하는 수많은 산신들은 다음과 같이 몇 가지 특징면에서 나눠볼 수 있다. 첫째, 우주적인 기능을 지닌 산신이다. 대표적으로 서왕모를 들 수 있겠다. 그녀는 형벌과 돌림병 등의 기운을 주관하기 때문이다. 곤륜산에는 서왕모 이외에도 황제의 궁궐을 관리하고 있는 육오(陸吾)라는 신이 있다. 이 신은 아홉 개의 꼬리, 사람의 얼굴에 호랑이 발톱을 하고 있는데 하늘의 아홉 구역의 경계와 황제의 정원의 사계절을 맡고 있다.

두번째는 기상의 변화를 일으키는 산신이다. 대표적 예로는 무산신녀를 들 수 있겠다. 그녀는 아침에 구름이 되었다가 저녁에는 비로 화하였기 때문이다. 또 화산(和山)이라는 산은 황하(黃河)의 아홉 개의 지류가 숨어있는 곳인데 태봉(泰逢)이라는 신이 다스리고 있었다. 이 신은 사람같이 생겼으나 호랑이의 꼬리가 있고 천지의 기운을 움직여 비와 구름을 지어낼 수 있었다. 이밖에도 호수에서 놀다가 폭풍우를 동반하거나 번득이는 빛을 발하는 광산(光山)의 신 계몽(計蒙)과 부부산(夫夫山)의 신 우아(于兒) 등이 이 부류에 속한다.

세번째는 재앙을 일으키는 산신이다. 가령 풍산(豊山)의 신 경보(耕父)가 나타나면 농사를 다 망치게 되고 항산(恒山)의 신은 모습이 소처럼 생긴데다가 여덟 개의 다리와 두 개의 머리에 말의 꼬리를 하였는데 이 신이 나타나면 그 고을에 전쟁이 일어났다. 중국의 산신은 그리스 로마 신화와 비교할 때 그 숫자가 압도적이다. 해양국가였던 그리스에 비해 중국은 내륙을 중심으로 문명이 발달했기 때문일 것이다. 아울러 우리는 고대 중국의 산신들이 후세의 인간화한 산신과는 무척 다른 모습을 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지상에서 산악 다음으로 인류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것은 바다와 강이다. 원시 인류는 바다나 강 역시 자연친화적인 감성에 의지하여 신적인 존재로 파악했다. 중국에서는 전통적인 사방의 관념에 따라 바다의 신이 그리스 로마 신화의 해신 포세이돈처럼 단일하지 않고 네 명이 있다고 상상했다. 가령 동해의 신은 이름을 우호(□琥)라고 했다. 그는 황제의 아들로 사람의 얼굴에 새의 몸을 하였는데 두 귀에는 누런 뱀을 걸었고 두 발로는 누런 뱀을 밟고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그는 우경(□京)이라는 아들을 낳았는데 우경은 북해의 신이 되었다. 우경은 또 우강(□彊)이라고도 부르는데 아버지와 비슷한 모습이었다. 남해의 신은 이름을 부정호여(不廷胡餘)라고 하는데 이 신 역시 사람의 얼굴에 두 귀에는 푸른 뱀을 걸고 두 발로는 붉은 뱀을 밟고 있는 기괴한 모습을 하고 있었다. 서해의 신은 이름을 엄자(□玆)라고 하는데 이 신의 모습 역시 앞서의 신들과 비슷하였다. 이들 바다의 신들은 비바람을 불러 일으키기도 하고 나쁜 기운을 쫓아내기도 하는 등의 능력을 지녔으나 중국신화에서 이들이 차지하는 이야기 비중은 미약하다. 후세에 인도로부터 들어온 불교의 영향으로 용왕(龍王) 이야기가 성립되면서 해신에 대한 내용이 풍부해졌다.

바다의 신 보다 분량도 많고 다양한 내용을 지닌 것은 강의 신에 대한 신화이다. 강의 신의 대표적 예는 황하의 신인 하백(河伯)이다. 황하는 고대 중국 문명의 중요한 근거지였으므로 황하의 신인 하백은 강의 신 중에서 가장 지위가 높다. 하백은 사람의 얼굴에 물고기의 몸을 하였다고 한다. 그는 풍류적인 기질이 다분하여 항상 여인들과 더불어 천하의 온 강을 헤집고 다녔는데 그 때 그는 두 마리의 용이 끄는 아름다운 연꽃으로 장식한 수레를 탔다 한다. 하백은 강의 지배자였으니 만큼 물고기 종류의 관원들을 거느렸다. 하백사자(河伯使者)인 악어, 하백종사(河伯從事)인 자라, 하백도사소리(河伯度事小吏)인 오징어 등이 그들이다. 이들은 하백이 행차할 때 곁에서 모셨으며 하백의 분부를 받들어 강물 속의 일들을 처리하였다. 하백 이외에도 여러 강의 신들이 있는데 여신이 많다. 낙수(洛水)의 여신은 복비(宓妃) 혹은 낙빈(□嬪)이라고 부른다. 그녀는 원래 대신 복희(伏犧)의 딸이었는데 낙수를 건너다 익사하여 신이 되었다. 그녀는 하백의 아내가 되었다가 후일 명궁 예(□)를 만나 연애에 빠져 하백과 예 사이에 한바탕 애정의 풍파를 일으키게 한다. 남방 상수(湘水)의 여신은 요(堯) 임금의 딸이자 순(舜) 임금의 부인이었던 아황(娥皇)과 여영(女英) 두 자매이다. 이들은 순이 남방을 순시하던 도중에 갑자기 죽자 슬픔을 이기지 못하여 상수에 몸을 던져 죽어 그 강의 신이 되었다. 순의 또 다른 부인 등비씨(登比氏)의 두 딸 소명(宵明)과 촉광(燭光)도 황하의 여신이 되었다. 그녀들은 빛을 발하는 신통한 능력이 있어서 사방 백리를 환하게 비추었다고 한다. '산해경'에는 조양곡(朝陽谷)이라는 골짜기에 사는 천오(天吳)라는 수신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이 신은 여덟 개의 머리와 다리, 꼬리를 지니고 청황색의 몸빛을 한 기괴한 모습이었다고 한다.

하백은 이름을 빙이(氷夷) 혹은 풍이(馮夷)라고도 하는 것으로 보아 동이계(東夷系) 종족과 관련이 깊다. 아닌게 아니라 그는 고구려 건국신화에 등장하여 딸 유화(柳花)를 통해 시조인 주몽(朱蒙)을 낳게 하고 주몽이 적에게 쫓겨 강가에 이르렀을 때 물고기로 다리를 놓아 건너게 하는 등 결정적인 도움을 준다. 중국의 자연신들은 그리스 로마의 신들과 큰 차이가 있다. 그리스 로마의 자연신들은 자연 그 자체와 동일시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중국의 자연신들은 산이나 강의 배후에서 관리하고 조절하는 별도의 존재이다.

글 정재서 이화여대 중문과교수

그림 서용선 서울대 서양화과교수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