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년 시작 당시부터 사업단 선정 등을 둘러싸고 잡음이 끊이지 않았던 '두뇌한국(BK) 21' 사업에 결국 큰 구멍이 뚫렸다.18일 발표된 BK21 중간평가 결과 탈락한 대학 사업단이 4곳에 이른데다, 정원감축 등 제도개혁 미비와 허술한 사업비 운영 및 관리 등으로 사업비가 대폭 삭감된 대학이 수십곳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나 사업 전반에 대한 대대적인 수술이 불가피해졌다. 특히 지금까지 탈락 사업단에 투입된 연구지원금 68억원을 고스란히 날린 꼴이 돼 회수 논란도 불거질 전망이다.
■지원금 엉뚱한 데 마구 사용
서울대 아시아태평양교육발전연구단 등 인문사회 분야 4개 탈락 사업단의 사업비 운영 및 연구실적 등은 한마디로 엉망이었다.
지난해 사업단으로부터 500여만원을 받아 중국 단기연수에 참여했던 A교수는 여행사를 통해 관광만 했고, 박사과정 B씨는 8살난 아들까지 동행했다. C교수는 미국 하버드대 케네디 스쿨에서 개최한 3일간 세미나에 학생 9명과 참석하면서 무려 1,850만원을 쓴 것으로 드러나기도 했다.
탈락 사업단은 국제학술지 논문게재 편수가 다른 사업단의 80% 수준에 머무르는 등 연구실적도 매우 저조했다. 교육부는 4개 사업단의 올해 국제 및 전국규모 학술지 논문게재 편수가 1인당 1.8편꼴로 인문사회 전체 사업단 평균 2.3편에 턱없이 모자랐다고 설명했다.
■지원금 40% 서울대 '낙제점'
사업단 선정 당시 총 연구지원금의 40% 이상을 차지, 다른 대학의 거센 반발과 함께 특혜의혹을 사기도 했던 서울대는 탈락한 2개 사업단은 물론 총 2,430억원이 지원된 과학기술분야 사업단도 대거 문제가 발생해 예산이 깎이는 수모를 당하게됐다. 의생명·재료사업단 등 2곳이 제도개혁 미흡으로 지원금 삭감과는 별도로 교육개혁지원비가 50% 삭감됐고, 정보기술·기계 등 8개 사업단도 사업비 운영 및 관리 등에서 매우 낮은 점수를 얻어 지원금이 20% 깎이게됐다. 서울대는 단과대학간의 갈등으로 정원감축은 1,010명에 그쳤고 모집단위는 오히려 16개로 늘어났으며 국제학술지 등 논문게재 숫자도 줄어드는 등 연구실적이 매우 부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김진각기자 kimj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