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버스 노조가 11일부터 총파업을 벌이기로 해 교통대란이 현실화할지 여부가 초미의 관심이다. 현재 서울시는 노조를 설득할 방법을 찾기 위해 사용자측과 협의를 계속하는 등 고심하고 있지만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왜 이렇게 됐나
사태의 1차 원인제공자는 서울시다. 시는 3월 버스업체 노사가 임금인상에 대한 9차례의 교섭에도 불구하고 합의점을 찾지 못한 채 노조가 파업을 결의하자 '버스요금 실사 뒤 인상요인이 있을 경우 3·4분기 중 조정하겠다'고 약속했다. 결국 노사는 시의 안을 받아들여 임금을 7.5% 인상하되 인상분은 요금인상 후 지급하기로 합의했다. 시는 이에 따라 한양대 경제연구소에 요금실사 용역을 의뢰, 7월에 110원의 요금인상요인이 있다는 용역결과를 받은 상태였다.
그러나 7월 취임한 이명박(李明博) 시장은 "버스요금 인상여부는 서비스를 개선한 뒤 검토하겠다"며 일방적으로 약속을 깨버렸다. 여기에 반발한 서울버스운송사업조합은 임금인상안 파기로 맞섰고 노조는 다시 사용자측에 맞서 전면파업을 결의한 것이다.
▶파업까지 갈까
시는 겉으로 '임금인상은 버스업체 노사간의 문제'라고 선을 긋고 있지만 노조파업이 이제 막 출범한 이 시장 체제에 큰 부담이 된다고 판단, 어떻게 하든 파업은 막겠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 이 시장은 2일 국회 행자위 국정감사에서 "요금을 동결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인상요인을 재검토 한 뒤 인상여부를 확정하겠다는 것"이라며 8월의 입장에서 한발 후퇴했다. 시의 고위관계자도 "조사결과 명백한 요금인상요인이 있다면 시민들을 이해시킬 수도 있을 것"이라며 "조만간 서울시의 입장과 방안을 내놓을 것"이라고 말해 요금인상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
이에 따라 시가 요금인상을 포함, 간접지원 등 다양한 방법으로 버스업체를 설득해 임금인상 합의를 이행케 함으로써 파업사태로까지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김동국기자 dkki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