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자산 84조원 규모로 은행권 전체 3위가 되는 하나·서울 합병은행이 연내 출범한다.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13일 전체회의를 열고 우선협상대상자인 하나은행을 서울은행 인수대상자로 최종 확정, 내주 중 본계약을 체결키로 했다.
서울과 하나은행의 합병비율은 당초 2.1대1에서 2대1로 변경돼 합병 후 예금보험공사 지분(30.9%)의 최저 회수보장가액, 즉 매각대금도 1조1,000억원에서 1조1,500억원으로 상향 조정됐다.
이번 매각협상은 합병비율을 재조정하고 우발채무에 대한 면책조항도 백지화하는 선에서 매듭됐다. 서울은행의 주인인 정부 입장에선 계속되는 '헐값매각'논란 속에 매각가격을 500억∼1,000억원 이상 높이게 됐다는 점에서 소기의 성과를 거둔 셈이다.
이같은 협상안이 13일 공자위의 최종 승인을 받음에 따라 합병은행의 출범작업에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하나은행은 이달 안으로 서울은행과 본계약에 서명한 뒤 합병 주주총회(10월 중순)를 거쳐 12월 1일 합병은행을 공식 출범시킬 방침이다.
합병작업이 원활히 이뤄질 경우 서울과 하나은행은 연말이면 총자산 84조원, 지점 595개, 직원 7,662명을 보유한 메머드급 은행으로 재탄생하게 된다. 자산 규모상 국민(197조5,000억원), 우리(88조7,000억원)에 이어 국내 은행권 '빅3'로 껑충 뛰어 오르는 것이다.
더욱이 합병은행(하나+서울)은 중소은행을 대상으로 제2의 합병을 또 다시 추진하겠다고 선언한 상태여서 국내 금융권의 덩치키우기 경쟁에 기폭제로 작용할 전망이다.
하지만 합병은행의 출범이 일사천리로 진행될 것 같지는 않다. 당장 서울은행 노조의 반발이 복병이다. 노조는 이날 "합병비율 재조정으로 매각가격이 1조1,500억원으로 늘었지만 1조원이 넘는 법인세 감면혜택과 두 은행의 자산건전성 차이 등을 감안할 때 여전히 미흡한 수준"이라며 헐값매각 저지를 위한 투쟁을 계속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에 대해 예보 관계자는 "당초 정부가 떠안기로 했던 우발채무를 하나은행이 부담키로 한 것까지 포함하면 실제 매각가격은 1,000억원 이상 높아졌다"며 '받아낼 만큼 충분히 받아냈다'는 반응을 보였다. 합병은행의 출범시기는 결국 하나은행과 서울은행 노조간 '세(勢) 싸움'의 향방에 따라 좌우될 전망이다.
/변형섭기자 hispeed@hk.co.kr
이영태기자 yt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