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수교 이후의 과거 10년은 중국 내 한국 교민, 유학생, 심지어는 재중동포들에게까지 생활에 엄청난 변화를 몰고 왔다. 공산국가로만 알았던 중국이 한국의 세번째 무역상대국으로 부상하면서 이 따른 양국간 인적ㆍ물적 교류는 앞으로 어디까지 팽창할지 점치기조차 어려울 정도이다.교민들이 집단 거주지가 중국 곳곳에 형성되고 한국인만을 상대로 하는 업종이 성행할 만큼 중국은 한국에게 없어서는 안될 가깝고도 중요한 국가가 됐다.
베이징(北京)시 동북쪽 4환로와 5환로 사이 신흥 아파트 단지인 왕징신청(望京新城)은 대표적인 코리아타운이다. 아파트 단지로는 세계 최대 규모라는 왕징신청의 주민은 4,000여 가구. 이중 700여 가구가 한국인들이다.
인근 화지아디(花家地), 따스양(大西洋) 단지의 한국인까지 포함하면 2만여 명이 넘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곳에 한국인이 집단 거주하게 된 것은 1992년 한중수교 이후 한국 본사에서 파견된 주재원 등이 대거 이주하면서부터다. 여기에 중국 유학붐까지 겹쳐 ‘기러기 아빠’ 는 한국에 남겨놓고 자녀들만 데리고 오는 어머니들이 이 아파트 단지로 몰려들어 ‘과부촌’ 이라는 별명까지 얻었다.
코리아타운의 중심지답게 단지 내 낙원상가는 한국인을 상대로 한 업소 일색이다. 한국인에게 자장면을 파는 중국음식점은 물론, 된장 고추장 단무지 김밥 오뎅 미숫가루 등 한국 음식을 파는 식품점이 즐비하다.
‘참새 방앗간’ ‘이모네 반찬전문점’ ‘땅끝마을’ ‘고향산천’ 등 상호를 아예 한국말로 한 점포가 있는가 하면 한국인들만을 상대로 한 부동산 중개소도 30여 개에 이를 정도로 성업 중이다. 3년 전 이곳에 입주한 이모씨(38)는 “여기가 중국땅이라는 생각이 안 든다” 며 “한국 물건을 못 구해 불편했던 적이 없다” 고 말했다.
최근에는 한 대형상가 1~3층 전부에 한국인 대상 업소 및 위락시설이 들어서고 간판도 ‘한국성’ 이란 한국말이 내걸리자 중국 당국이 영업을 불허해 ‘왕징청(望京城)’ 으로 바꿔 다는 일까지 벌어졌다.
교민들의 하루 일과도 한국에서의 생활과 별 다를 바 없다. 3년 전 베이징 지사로 발령 난 남편을 따라 초등학생 딸과 중학생 아들을 데리고 온 오모씨(39)는 전화만 걸면 배달되는 한국 비디오테이프를 보며 시간가는 줄 모른다. 오씨가 쓰던 한국제 화장품은 물론, 없는 한국 물건이 없을 정도여서 이곳이 중국인지 한국인지 착각할 정도다. 조선족 여성을 가정부로 들이면서 생활은 오히려 더 풍요로워졌다.
피부로 느끼는 변화는 유학생들에게도 마찬가지다. 수교 전과 수교 초창기 유학생들의 중국 생활은 밥값내기 농구나 축구, 몇 개월이 지나도 여전히 똑같은 노래 뿐인 구식 노래방 정도가 여가 활동의 전부였다.
그러나 유학생이 수 천 명으로 늘고 인터넷이 보급되면서 생활 패턴은 완전히 달라졌다. 온라인을 통해 농구 축구 야구 등 아마추어 스포츠팀이 결성돼 선수만 300여 명이 넘는 대규모 대회가 치러지는가 하면 곳곳에 들어선 PC방은 유학생들의 새로운 문화로 자리잡은 지 오래다.
7년 전 유학 온 송병욱(23ㆍ베이징대 4년)씨는 “베이징에 첫 발을 내디딘 그날의 삭막했던 풍경은 정말 충격적이었다” 며 “그러나 지금은 모든 것이 달라져 또 한번 충격을 느끼고 있다” 고 말했다.
재중동포들에게는 한중수교가 전통적 공동체를 허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옌볜(延邊) 자치주를 중심으로 지린(吉林)성과 헤이룽장(黑龍江)성, 랴오닝(遼寧)성 등 중국 동북 3성에 모여 살던 동포들은대도시로 대거 이동하고 있다. 한국 기업에서 통역을 맡거나 한국인이 운영하는 공장에서 일하는 동포들이 급증하면서부터다.
이들은 한국상사 주재원이 거주하는 지역에 몰려 살면서 한국 기업과 일종의 공생관계를 이루고 있다. 한중수교 이후 조선족의 대도시 유입 규모는 베이징 7만~10만 명, 산둥(山東)반도의 칭다오(靑島) 4만~5만명, 상하이(上海)ㆍ광저우(廣州) 2만~3만 명 등 30여만 명에 이른다. 전체 200만 재중동포 중 15% 정도가 고향을 떠난 셈이다.
베이징 동쪽 외곽인 차오양(朝陽)구에는 ‘고려촌’ 으로 불리는 동포타운도 생겨났다. 그러나 140년 간 이어졌던 재중동포 공동체가 사라질지 모른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적지 않다. 1950년대 초 75% 이상이 재중동포였던 옌지(延吉)는 38만 전체 인구 중 동포가 38%로 줄어들었다.
옌볜 자치주의 경우 280만 명 중 30%도 안 되는 83만 명으로, 동북 3성에 산재한 4,000여 개 동포 마을은 10년 새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중국 공산당 지린 옌볜 자치주위원회는 재중동포 인구가 줄어들자 과거 이들이 맡고 있던 당서기를 한족으로 바꿨다.
베이징=송대수특파원dssong@hk.co.kr
■"중국을 배우자" 유학생의 25% 차지
중국의 외국 유학생 10명 중 4명은 한국인이다. 7월 현재 한국 유학생은 1만 5,000여명으로 중국 전체 외국인 유학생 6만여 명의 25%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수교 직전인 1991년 베이징의 한국 유학생이 100여명이었으니 10년 새 150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양국 교역량이 급증하면서 중국어 등 중국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점을 감안하면 이같은 변화는 나쁠 것도 없다.
그러나 문제는 유학생 급증이 낳는 부정적인 면이다. 한국인의 유학붐을 악용한 중국 학교들은 한국 학생들을 ‘봉’ 으로 생각한다. 신축하는 교사나 기숙사 비용의 대부분은 한국 유학생이 낸 학비에서 나온다는 건 공공연한 비밀이다.
일부 대학은 한국인의 돈을 노려 실력이 모자라더라도 무조건 입학시키기까지 하고 있다. 한국 학생들끼리 몰려다니며 유흥비로 돈을 탕진하거나 비행 청소년으로 전락하는 사례는 영미권 국가의 유학생들에 국한된 얘기가 아니라는 게 교민들의 지적이다.
베이징=송대수특파원
■특별기고/ 이젠 '신뢰의 새10년'을
지난 10년 동안 한중 관계는 말 그대로 비약적인 확대를 경험했다. 경제적으로 양국 간의 교역이 7배 가까이 증가하면서, 중국은 미국에 이어 우리의 2대 시장이 되었고, 우리 또한 홍콩을 제외하면 중국의 3대 교역국으로 등장했다. 정치적으로도 우리측에서 3명의 대통령을 포함한 대부분의 지도자들이 중국을 방문했고, 중국 측에서도 권력순위 1위부터 5위까지의 지도자들이 모두 우리나라를 다녀가는 등 양국간의 교류가 계속해서 확대되어 왔다. 민간차원에서의 교류는 더욱 급속하게 확대됐다. 우리의 중국 방문객 숫자가 이미 매년 100만명을 넘어서는 등 중국은 이제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즐겨 찾는 국가 가운데 하나가 되었고, 최근 해외여행의 자유와 여유가 증대된 중국인들의 한국방문 또한 급속히 늘고 있는 추세다. 이 모두가 한때 전쟁에서 서로 싸웠던 두 국가가 수교 10년 만에 이룬 결과라고는 믿기 어려운 성과다.
초창기 한중관계를 추동시킨 것은 경제적 필요성이었다. 오랫동안 중국이라는 거대 시장이 열리기를 갈망해온 우리나, 천안문 사태 이후 미국과의 관계가 불편해지면서 새로운 자금과 기술을 필요로 했던 중국 모두가 교류증진을 원했고, 이러한 이해의 일치가 양국간에 존재하는 경제적 상호보완성과 맞물리면서 양국간의 교류는 폭발적으로 확대됐다. 한편 시간이 지나면서 양국은 정치적 측면에서도 공통의 이익을 찾기 시작했다. 특히 양국 모두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원했고, 이러한 입장의 일치가 정책에 대한 지지로까지 이어졌다. 최근 들어 중국은 햇볕정책과 남북정상회담 등 우리의 대북정책에 대한 가장 강력한 지지자로 등장했다.
앞으로도 양국관계는 계속해서 확대되고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 교류의 증대와 함께 양국인들 사이에 한류(한국의 漢流와 중국의 韓流)로 대변되는 상대방에 대한 열광적인 관심이 촉발되었는데, 이러한 관심은 양국관계를 확대시킬 토양으로 작용할 것이다. 한편 양국간에 존재하는 상호보완성은 이러한 가능성을 현실화시키는 데 힘을 보탤 것이다. 특히 우리의 입장에서 볼 때, 급속히 성장하는 중국과의 관계 증진은 경제적 활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대외정책상의 선택지를 확대시키는 데도 불가결하다.
그러나 깊이 들여다보면 양국관계에 문제가 없지 않다. 양국관계가 급속히 확대되었음에도 양국 간에는 신뢰가 진정으로 확립되지 못했다. 수년전의 마늘분쟁이나 최근 탈북자 문제에서 보듯, 양국 간의 이견은 정상적이고, 이성적인 절차나 과정을 통해 합의가 모색되고 도출되기보다 격렬한 갈등의 형태로 표출되곤 한다. 이것은 양국이 교류의 확대에도 이에 걸맞은 신뢰관계를 구축하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신뢰의 결핍은 경제적 경쟁이나 동북아에서의 세력균형 변화에 대한 대처와 같은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에 양국이 함께 대응하는 데 장애로 작용할 것이다.
이러한 현실이 21세기 초입에서 새로운 10년을 맞는 양국관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준다. 한중관계의 진정한 발전을 위해서는 양국 간의 지위에 걸맞은 신뢰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시급하다. 이제 양국은 관계의 단순한 확대가 아닌 관계의 심화에 주력해야 한다.
김재철/가톨릭대 국제학부 교수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