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무장관 회동을 계기로 큰 틀의 대화 재개에 합의한 미국과 북한이 대북특사 파견을 향해 보폭을 넓히고 있다.양측은 6일 북한_유엔사간 장성급 대화, 7일 북한의 함남 신포 경수로 건설부지에서 진행될 콘크리트 타설식에 잭 프리처드 미 국무부 대북담당교섭대사의 참석을 통해 대화환경을 좀더 성숙시킨다.
6일 장성급 대화는 본격적인 대화에 앞서 양측이 반드시 짚고 넘어야 할 서해교전 문제를 다룸으로써 미 특사파견을 위한 뉴욕채널 가동을 보다 수월하게 만들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유엔사를 대표하는 주한 미군측에 지난달 25일 수준으로 유감의 뜻을 밝힌다면 북측이 조성했던 군사적 긴장상황은 상당부분 해소되며, 대북대화를 주장하는 미국내 온건파의 입지는 보다 넓어질 수 있다.
물론 북한은 서해교전의 원인을 서해 북방한계선(NLL)으로 돌리면서 NLL을 북미대화의 의제로 부각시킬 가능성도 높다.
북한은 또 프리처드 대사의 방북을 통해서는 제네바 핵 합의에 대한 강한 이행의지를 미국에 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프리처드 대사가 방북을 전후로 우리 당국자들과 긴밀히 접촉하는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하지만 이러한 예비적 시도가 곧바로 미국의 대북특사 파견 논의로 이행될 것 같지는 않다. 정부의 한 당국자는 "미국은 당분간 12일 남북 장관급회담과 이후 진행될 북일 적십자회담의 결과 등을 지켜보면서 북측의 태도변화 여부를 확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의선 연결과 이산가족사업에 대한 북측의 이행의지가 확인되고, 요도호 납치범 송환에 대한 북측의 처리방침 등이 가시화하는 이달 하순 이후에야 미국이 대북특사 파견을 본격 검토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정부는 이러한 상황변화에 대비, 이달 중으로 미측과 대북정책을 긴밀히 조율하는 자리를 마련하는 방안을 조심스럽게 검토중이다. 여기에는 일본측도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 3자간의 대북정책협의는 대북정책조정감독그룹(TCOG) 회의 형식으로 진행될 것 같다.
이영섭기자 young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