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해외에서/ '在日'의 멍에 그리고 가능성에 대하여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해외에서/ '在日'의 멍에 그리고 가능성에 대하여

입력
2002.07.27 00:00
0 0

재일한국인 작가 이회성(李恢成)의 새책이 나왔다. ‘가능성으로서의 재일(在日)’.이 책은 이회성이 작가로 데뷔한 후 30여년동안 써 온 수필 서른 여덟 편을 엮은 것인데, 어린 시절을 회상하는 잔잔한 내용이 있는가 하면 논리적이고 역사적인 내용을 담은 것도 있어 다양한 맛을 느낄 수 있다.

‘이름의 역사’라는 글이 있다. 저자는 청소년 시절을 보낸 삿포로에 강연을 하러가 옛 친구들을 만나고 술을 함께 마셨다.

그 자리에 있던 한 친구는 전에 그가 사용하던 ‘기시모토(岸本)’라는 일본 이름을 계속 썼다. 그 친구는 그 이름을 쓰지 않으면 예전의 정이 느껴지지 않고 낯선 느낌이 들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저자는 지금 사용하는 한국 이름을 어려서부터 사용했더라면 저 친구가 그런 느낌을 가질 이유도 없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 당시의 저자는 그럴 수 없었다. “나는 지금은 그런 자신을 후회하고 있다. 얼마나 많은 세월 먼 길을 돌아 그 미로에서 빠져나오려고 노력했던가.”

‘가능성으로서의 재일’이란 소제목을 단 글은 2001년 열린 ‘세계한민족포럼’에서 강연한 내용을 수정해 실은 것이다. 한국과 북한, 일본에 대한 비판이 날카롭게 전개된다.

“21세기를 살아갈 때 우리는 무엇을 경계해야 할까요? 민족지상주의에 함몰되는 것입니다.” “‘민족감정’과 ‘세계감정’을 동시에 갖는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이제부터는 매우 중요한 일이 되지 않을까요? 코리아 민족은 이런 ‘감정교육’을 받을 의무가 있을 것 같습니다.”

‘재일’은 민족통일의 ‘다리’라는 역할과 함께 ‘세계감정’의 전파자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이 책에서는 김사량(金史良)에서 시작돼 김달수(金達壽) 김학영(金鶴泳)을 거쳐 김석범(金石範) 이양지(李良枝)에 이르는 재일 작가들이 오랫동안 고뇌해온 ‘재일’이라는 아이덴티티를 찾기 위한 몸부림이 아프게 느껴진다.

그리고 왜 그들은 그다지도 몸부림칠 수밖에 없었는가를 알 수 있게 해준다. 그 몸부림은 우리를 심히 부끄럽게 만든다. 우리는 그동안 재일 한국인들을 어떻게 보아왔던가.

혹시나 그 안에는 단순히 ‘반(半) 왜놈’이라는 말로 그들을 매도하는 시선이 숨어있지나 않았을까.

이 책은 지금까지 우리가 재일한국인이란 존재를 어떻게 인식해 왔었는가에 대해, 나아가 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외국인이라는 존재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가에 대해 엄중하게 질문을 던진다.

그 무거운 질문에 우리는 어떻게 대답할 수 있을까. 이제는 그 해답을 찾는 작업에 착수해야 할 때가 된 것이 아닐까.

/황선영 일본 도쿄대 비교문학ㆍ문화 박사과정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