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25일 서해교전 사태와 관련해 유감을 표명함에 따라 북미 대화의 재개 여부가 관심을 끌고 있다.북미 관계는 서해교전 발발 직후인 2일 미국이 전격 대북 특사파견 방침을 철회함으로써 사실상 완전동결된 상태다. 당시 미국은 철회 이유로 북한측의 시한내 무응답과 서해사태로 빚어진 ‘수용할 수 없는 분위기’ 등 두 가지를 내세웠다.
북한이 서해사태에 대해 유감을 표명함으로써 특사 파견 철회의 배경이 됐던 걸림돌 하나는 해소된 셈이어서 북미 대화 재개 가능성이 다시 부상하고 있다. 미 국무부는 일단 북한의 유감 표명을 긍정적으로 평가해 북한에 화답했다.
이와 관련, 관심을 끄는 사안은 31일 브루나이에서 열리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서의 북미 외무장관 회담 여부다.
미 국무부는 이날 “미국 대표단의 북한 방문이나 콜린 파월 장관이 백남순 북한 외무상을 만날지 여부에 대해서는 아직 아무런 결정도 내려지지 않았다”고 부정적 입장을 보였으나 제반 상황을 감안해 보면 그리 비관적이지만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우선 파월 장관이 이날 “어떤 상황도 배제하지 않으며 모든 것을 고려할 것”이라고 언급한 점이 주목된다. 또한 북한이 남북 장관급 회담 재개를 요청하고 ARF에서 일본과 외무장관 회담을 갖기로 하는 등 유연한 제스처를 보인 점도 미국의 입장 결정에 순기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와 관련, 워싱턴 외교 관계자는 “현재까지는 미국이 회담을 적극 추진할 의사는 없다”고 전제하고 “그러나 현지에서 북한이 먼저 회담을 제의해 올 경우에는 극적인 회동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부시 행정부 내에 자리잡고 있는 대북 불신감이 워낙 완강하다는 점에서 북미 외무장관 회동 여부를 섣불리 낙관할 수 없다는 지적도 있다.
한 외교 관계자는 “미국이 지난번 제임스 켈리 국무부 차관보의 특사 파견도 철회한 마당에 이보다 격이 높은 외무장관 회동에 선뜻 나서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하고 “다만 이번 ARF에서 북한이 보다 전향적 자세를 보여줄 경우 향후 대화 재개에 긍정적 영향은 줄 수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워싱턴=윤승용특파원
syyoo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