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평화의 댐을 저수량 26억톤 규모로 증축키로 한 것은 북한 금강산댐(임남댐)의 안전을 확신할 수 없기 때문이다.현재 저수량이 12억톤에 불과한 금강산댐이 북한의 계획대로 26억톤 규모로 완공된 뒤 뜻밖의 자연재해 등으로 붕괴할 경우 한강 수계(水系)에 대규모 침수 사태가 불가피하다는 판단이다.
결국 정부의 평화의 댐 증축 결정은 북한이 ‘26억톤의 댐’을 만든다면 우리도 ‘26억톤의 댐’을 만들어 맞대응한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건교부는 금강산댐을 근본적으로 불안한 댐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정부는 금강산댐에서 올 1월 3억톤 이상의 진흙탕 물이 보름간 방류되는 등 이상 징후를 포착, 인공위성 사진으로 판독한 결과 댐 상부에 함몰 흔적을 확인했다.
또 북한측이 금강산댐 보수공사를 하면서 댐을 증축하는 움직임을 보여 결국 우리측도 증축을 결정하게 됐다.
건교부 관계자는 “증축 공사가 완공된 금강산댐이 붕괴해 최대 저수량인 26억톤이 하류로 쏟아질 경우 증축 이전 평화의 댐(5.9억톤)과 화천댐(6.5억톤) 만으로는 피해를 막을 수 없다”고 말했다.
정부는 2004년 평화의 댐 증축공사가 완료되면 저수량이 26.3억톤으로 늘어나 금강산댐이 붕괴하더라도 우리 측 피해는 전혀 없게 된다는 입장이다.
특히 만일의 사태에 대비, 현재 수력발전을 하지도 못한 채 비워두고 있는 화천댐의 경우는 정상 발전도 가능하게 된다.
평화의 댐 증축은 또 한강과 임진강 등을 둘러싼 남북한의 수자원 협상에서 우리 측이 주도권을 쥐는 역할을 할 것으로도 기대된다.
수문학계의 한 전문가는 “증축한 평화의 댐에 물을 완전히 채울 경우 북한의 금성천 일대가 침수될 뿐만 아니라 금강산댐의 하부 3분의1이 물에 잠기게 돼 북한이 먼저 협상을 제의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김혁기자
hyuk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