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프랑스인에게 가볍고 변덕이 심하다는 형용사를 흔히 붙인다. 그렇다면 프랑스인들은 스스로를 어떻게 볼까.‘프랑스인이란 무엇인가?’는 4월 외국인 차별 정책을 내세운 극우파 돌풍으로 세계의 시선을 모은 프랑스 대통령 선거와 때맞춰 출판되면서 화제에 올랐고, 지난 달 역사부문에 수여하는 프랑스와퓨레상을 수상했다.
저자 파트릭 바이으는 파리1대학 20세기 사회사센터 연구원으로 ‘프랑스와 외국인들, 1938년부터 현재까지 이민 정책의 모험’(1991)이란 책으로 알려져 있으며 1997년 사회당 정권시 이민과 국적에 관한 정책을 조스팽 전 총리에게 제출하기도 했다.
‘대혁명 이후 국적의 역사’란 부제가 말해주듯이 이 책은 프랑스인이란 막연한 믿음을 깨고 프랑스인이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지난 2세기 동안 역사적 상황에 따라 정책을 반영하면서 변화해 왔음을 보여주고 있다.
1803년 나폴레옹 민법은 그때까지 지배해 온 봉건적 의미의 국적 즉 태어난 나라에 따라 국적이 정해지는 속지(屬地)주의를 바꾸어, 친자관계로 전달되는 세습권의 원칙을 중시한다.
아울러 국적은 남자만의 특권으로, 여자는 그후 1927년까지 프랑스내에서 외국인과 결혼해도 프랑스 국적을 상실하고 남편 국적을 가져야 했다.
19세기 말, 프랑스는 유럽 제일의 이민국으로 부상한다. 따라서 외국인들의 군복무 이행을 위해, 프랑스에서 태어나고 교육받은 어린이들에게 국적을 부여하는 속지주의로 돌아온다.
제1, 2 차 세계대전 후에는 인구 감소에 대한 해결책으로 귀화ㆍ결혼으로 프랑스인이 되기를 원하는 이민자들에게도 국적을 제공한다.
그러나 국가와 종교 인종을 선별, 적응 능력에 따라 국적이 부여됐고 알제리 출신은 법적 자격이 낮았으며, 귀화인들의 권리 행사에도 제한이 있었다.
86년에는 현 대통령 자크 시라크가 창당한 공화연합당이 외국인 자녀들의 속지주의 철폐를 제안했고, 98년에는 18세에 본인이 원하면 국적이 정해지는 의안을 채택,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책을 소개하면서 일간지 피가로는 유명 인사들이 생각하는 프랑스인이란 무엇인가를 함께 실었다.
이들은 무엇보다 프랑스를 만들어 온 정신적인 가치를 들고 있다.
‘자유 평등 박애의 정신’ ‘지배를 거절하고, 각자 고유한 취향을 유지하는 것을 덕으로 아는 것’ ‘보편성의 추구’ ‘프랑스의 역사에 지배되고, 불어를 도구로 한 문화에 공감하는 것’ 등.
월드컵에 세계를 놀라게 한 붉은 악마 한국인들의 투쟁력과 단결심. 한국인이란 진정 무엇일까 자문해 본다.
/조혜영ㆍ재불번역가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