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년 헌정사상 처음으로 여성이 총리에 지명됐다.장상 총리서리는 국회의 인사청문회와 임명동의를 거쳐 임명되지만 첫 여성 총리지명은 그 의미가 각별하다. 우선 개각을 불가피하게 만든 주변상황을 살펴보자.
대통령 아들의 잇단 구속으로 민심은 철저히 이반됐고, 여야를 막론하고 정치권으로부터 개각을 촉구하는 공세가 줄을 이었다.
서해교전이 몰고 온 이념과 안보를 둘러싼 갈등도 국론분열을 가속화 했다. 하지만 월드컵의 성공은 국가발전을 위한 국력결집을 희구했고, 이를 위해서는 새 출발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과거에서 비롯된 부(負)의 굴레를 일단락 짓고, 국민의 정부를 유종의 미로 마무리 지을 특단의 조치가 요구되는 시점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여성총리의 선택은 고정관념을 깬 발상이라 평가할 수 있을 것 같다. 지긋지긋하고 소모적인 정쟁의 와중에서 한발 비켜설 수 있고, 거칠기만 할 대선국면과 임기 말 국정을 중립성을 담보로 관리해 나갈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물론 총리에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국정조정능력과 행정장악력은 전적으로 장 총리서리의 능력에 달려있다. 다행히 그는 대학총장으로서 리더십과 경영능력을 검증받았고, 활발한 사회활동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쌓은 것으로 돼있다.
여성 총리기용은 제도와 관습의 벽 때문에 상당부분 사장돼 온 여성의 잠재력을 국정운영에 동원할 수 있는 시험이기도 하다.
7ㆍ11 개각에서는 법무ㆍ국방 등 8개 부처 장관급 인사가 교체됐다. 김대중 대통령의 임기가 7개월 반 남았지만 사실상 마지막 개각이다.
한나라당은 물론이고 민주당 노무현 후보 진영에서도 별로 신통한 반응이 나오지 않고 있다.
한나라당은 무기력한 개각이라 공세의 고삐를 늦추지 않았고, 노 후보 진영은 거국중립내각의 그림과는 거리가 멀다고 지적했다.
난국타개를 위한 개각이 넉넉한 평가를 받기 어렵다 해도, 새 인물이 없고 법무장관이 재기용 되는 등 인재풀의 한계가 또 다시 드러났다는 지적은 귀담아 들어야 할 대목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