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서해교전 이후 갈등 조짐을 보이고 있는 한국과 미국의 대북 정책에 대한 확인과 조정에 나섰다.일본 외무성은 가와구치 요리코(川口順子) 외무장관의 12일 첫 방한을 앞두고 9일 갑자기 다나카 히토시(田中均) 아시아ㆍ대양주 국장을 미국에 파견했다.
다나카 국장은 워싱턴에서 리처드 아미티지 국무부 부장관, 제임스 켈리 동아시아ㆍ태평양 담당 차관보 등과 만나 미국이 대북 특사 파견을 취소한 진의와 향후 방침 등에 대해 의견을 들었다.
가와구치 장관은 다나카 국장의 귀국 보고를 들은 뒤 13일 서울에서 최성홍(崔成泓) 외교통상부 장관과 가질 회담에서 서해교전에 대한 평가와 대북 한미일 공조문제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의 대북 포용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해 온 일본 정부는 서해교전 직후 사건이 우발적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지 않는 방향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시각이 강했다.
1일 도쿄(東京)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郎) 총리는 이같은 인식 하에 포용정책에 대한 지지와 북한과의 계속적인 대화 노력을 표명한 바 있다.
고이즈미 총리는 “북측의 계획된 도발”이라는 한국 국방부의 조사 결과나 나온 뒤인 8일에도 “도발에 편승하지 않도록 냉정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북한이 국제사회에 협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끈기 있게 설득해 나가겠다”고 대화 노선을 다시 밝혔다.
그러나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 관방장관과 다케우치 유키오(竹內行夫) 외무성 차관은 같은 날 “어느 선에서 공격 지시가 있었는지에 대해서 더욱 분석이 필요하다”는 견해를 덧붙였다.
한국 정부에 대한 외교적 배려에서 포용정책 지지를 원칙적으로 표명하면서도 서해교전이 김정일(金正日) 국방위원장 등 북한 지도부의 지시에 의한 도발이라면 대북 정책을 재검토할 수도 있다는 일본 정부의 입장이 읽혀지는 대목이다.
6월로 예정됐다가 북한측의 무응답과 서해교전 사태로 연기되고 있는 북일 적십자회담에 대한 대응, 이달말 브루네이에서 열릴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무장관 회담에 백남순(白南淳) 북한 외무상이 참석할 경우의 대응 등은 일본측으로서도 서둘러 한국, 미국과 보조를 맞추어야 할 대북 외교 현안이다.
도쿄=신윤석특파원
ysshi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