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5일 근무제를 둘러싸고 은행권과 재계가 정면 충돌 양상을 보이고 있다.재계는 은행권의 주 5일 근무에 맞서 이를 시행하지 않는 우체국이나 외국계 은행으로 거래 금융기관을 바꾸는 것을 강력히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실현 가능성이 얼마나 될지 알 수 없지만, 그만큼 재계의 반발이 심하다는 것을 상징해 주목되고 있다.
주 5일 근무제를 노동개혁의 시금석으로 보고 강력히 추진하는 정부나 은행권 모두 왜 재계가 이렇게 강력히 대응하고 있는지에 대해 깊이 생각해봐야 한다.
주 5일 근무제를 원론적으로 반대할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하지만 구체적인 실행 방안에 들어가면 이해관계에 따라 입장이 달라진다.
그래서 성공적인 시행을 위해서는 타협과 절충이 필요하고 사회적 합의가 요구되는 것이다. 재계 반발은 이 같은 점이 부족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재계는 무엇보다 경제의 핏줄이라는 은행들이 막대한 공적자금을 수혈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앞장 서 주 5일제 근무를 시행한 것에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그로 인해 기업, 특히 중소기업들이 입는 피해가 상당하다는 것이다. 수출기업이나 상인 등 일반 고객 들의 사정도 마찬가지다.
은행권은 더 늦기전에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토요일에도 영업을 하는 거점 점포 대폭 확대와 중소기업의 추가부담 및 불편해소 등 여러 지원 방안을 적극 모색해야 한다.
주 5일 근무제에 맞춰 서울시 행정도 우선 주말 및 야간 서비스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변화해야 한다는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의 보고서도 참고가 될 것이다.
주 5일제 근무는 앞으로 더 확대될 것이고, 그렇게 되어야 한다. 국민들을 편안하게 하자는 제도가 오히려 국민들에게 불편함을 주는 일은 없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