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단행된 민주당의 당직개편은 탕평 인사를 통해 주류-비주류 간의 불협화음을 진정시키는 한편 8ㆍ8 재보선을 앞두고 당 체제를 정상화했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하지만 최고위원들이 지방선거 인책론에서 벗어나기 위해 당직자 사표를 수리, 나눠먹기식 인사를 했다는 비판도 있다.23일 밤 열린 최고위원 간담회에서 한화갑(韓和甲) 대표가 다른 최고위원들의 주장을 수용함으로써 ‘화합형’개편이 이뤄졌다. 새 진용은 노무현(盧武鉉) 대통령후보와 한 대표, 비주류 최고위원들의 요구를 적절히 타협하는 선에서 짜여졌다.
노 후보는 김근태(金槿泰) 고문과 임채정(林采正) 의원을 각각 8ㆍ8 재보선특위 위원장과 정책위의장으로 천거했다. 재보선 공천 책임을 맡을 위원장과 대선공약을 마련할 정책위의장에 개혁성향 인사를 포진시킨 것은 '노무현 컬러'로 승부를 걸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한 것이다.
사무총장에는 비주류와 잘 어울리는 중도파인 유용태(劉容泰) 의원을 발탁했다. 유 의원은 중도개혁포럼 소속으로 한광옥(韓光玉) 정균환(鄭均桓) 최고위원의 추천을 받았다. 지도부는 비주류를 달래기 위해 유 의원을 기용했지만 구여권 출신인 유 의원이 당 살림을 제대로 맡을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선 회의적 시각도 있다.
이낙연(李洛淵) 대변인과 배기선(裵基善) 기조위원장은 한 대표와 가깝다. 한 대표계인 문희상(文喜相) 최고위원은 이미 대선기획단장을 맡았기 때문에 큰 줄기에서 노-한 중심체제는 유지되고 있다. ‘당 발전과 개혁을 위한 특위’ 위원장은 당초 한 대표가 맡을 예정이었으나 박상천(朴相千) 최고위원으로 교체됐다.
당권파와 비주류의 타협은 지방선거 참패에 따라 노_한 중심체제만으로는 당을 이끌어가기 어려운 현실을 반증하고 있다. 또 쇄신파가 집단지도체제를 비판하고 당내에서 지도부 인책론이 계속 제기되는 데 부담을 느낀 최고위원들이 담합해 ‘비빔밥식 인사’를 했다는 따가운 지적도 있다.
집단지도체제 변경을 요구한 쇄신파는 이번 당직 인선에서도 배제됐다.충청권 의언을 비롯,이인제 전고문과 가까운 인사들도 마찬가지였다.
이 때문에 대다수 비주류 의원들은 "당직개편은 화합과 거리가 멀다"고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따라서 새 진용은 8·8 재보선 결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또 다시 흔들릴 수 있고,이 때문에 임시봉합체제라는 해석도 가능하다.
김광덕기자
kdki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