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서 활동중인 한국의 젊은 과학자들이 전세계 과학자들의 오랜 꿈이었던 초소형 트랜지스터를 구현하는데 성공했다.주인공은 하버드대 박홍근(朴弘根ㆍ34) 교수팀과 박지웅(28ㆍ박사과정)씨. 이들의 연구 논문은 세계적인 과학잡지 ‘네이처’ 최근호(13일자)에 표지 논문으로 실렸다.
박홍근 교수팀은 금으로 된 두 개의 전극을 2㎚(1㎚는 10억분의 1m)미만 간격으로 놓은 뒤 그 사이에 바나듐 분자를 배치하는 방식으로, 대니얼 랠프 코넬대 교수팀의 제1 논문 저자로 참여한 박지웅씨는 코발트 원자를 이용해 트랜지스터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트랜지스터는 전자회로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이자 나노 기술의 핵심으로 인식되고 있는 분야로, 1개의 원자나 분자를 이용한 단원자 혹은 단분자 트랜지스터 개발은 지금까지 ‘꿈의 기술’로 여겨져 왔다.
네덜란드 델프트기술대학 레오 쿠웬호벤 교수는 네이처에 실린 논평에서 “이번 연구는 나노전자공학계에서 원자 하나가 트랜지스터가 될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라며 “당장 실리콘 트랜지스터와 경쟁할 수는 없겠지만 미래의 전자소자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대 화학과 출신의 박 교수는 1999년 32세의 나이에 하버드대 교수로 임용돼 화제를 모았던 인물.
스탠퍼드대에서 우수 논문상을 받으며 4년 만에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2000년에는 박지웅씨와 함께 60개의 탄소분자가 축구공 모양으로 결합된 ‘C60분자’를 이용해 당시로서는 가장 작은 트랜지스터를 개발, 주목을 받았다.
양은경기자
key@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