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북한산 국립공원에 민주공원을 짓기로 확정하면서 찬반이 엇갈리고 있다.환경부는 지난달 20일 국립공원위원회를 열고 민주공원에 포함되는 8,300평을 북한산 국립공원 부지에서 해제하기로 결정했으며, 총리실의 국토건설종합계획 심의회를 통과하는 대로 최종 결정된다.
이 같은 결정에 대해 그 동안 민주공원 부지 선정에 어려움을 겪어왔던 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 및 관련단체는 환영 의사를 표현하고 있지만 지역주민과 국립공원의 자연환경의 훼손을 우려하는 시민단체가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나서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민주공원추진위원회의 윤명선(尹命善ㆍ58) 사무처장과 국립공원 시민연대의 이장오(李裝五ㆍ54) 사무총장으로부터 입장을 들어보았다.
▽찬성 / 윤명선 민주공원 추진위 사무처장
▼친환경적으로 조성하는 민주교육의 장
“국립공원을 훼손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일부를 활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친시민적인 민주교육의 장을 만들자는 것이다.”
윤명선 사무처장은 민주공원은 단순히 민주 열사 및 그 가족을 위무하는 차원이 아니라 전 국민의 정신문화유산을 만들자는 것이기에 지역민의 이기주의에서 벗어나 장기적 안목으로 생각해 줄 것을 당부했다.
“국립공원이 보호되어야 한다는 것과 성역화 할 수 없다는 것은 다른 문제이다. 환경부가 해제한 8,300평은 22가구의 주민들이 살고 있는 취락지구라 문제가 되지 않고 울창한 수목이 들어서 있는 인근 구역은 나무 한 포기 건드리지 않고 자연적 공원 울타리로 활용할 것이다.”
그는 공원조성 방식에서도 친환경적인 설계 및 과정을 강조했다.
“기존 묘역과 달리 탑을 건립하지 않고 콘크리트 사용 여부도 봉분이냐 납골당이냐 하는 안장방식에 따라 결정된다. 철조망을 두르지 않고 자연스러운 산책로를 살린다면 천연수와 생물은 더욱 잘 보존할 수 있다.”
민주적인 여론수렴 과정에 대해서도 그는 공개적이고 전체적인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쳤다고 말했다.
“지난 해 초부터 후보지와 안장 및 건립방식의 문제를 놓고 3번의 공청회를 거쳐 의견을 수렴했다. 지역 주민들이 불참했던 이유는 후보지가 단일화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해제 이전에 해당 지역 주민에게 알리지 않은 것은 정부 측의 잘못이다. ”
그는 “경기 인근은 교통이 불편해 유가족이 반대해 왔고 최적이라 생각했던 용산과 남산은 서울시의 반대로 무산되었다”며 “인근에 4ㆍ19 묘역과 광복군 합동묘역, 독립운동열사 묘역이 있는 북한산은 접근성과 역사성, 상징성이라는 부지 요건에 모두 부합한다”고 말했다.
▽반대 / 국립공원 시민연대 사무총장
▼밀실서 결정, 주민의견 전혀 무시
“북한산 국립공원은 2,000만의 수도권 주민들의 허파 역할을 하고 있다. 정부가 나서서 전 국민의 간접적인 재산인 국립공원을 해제할 수는 없다.”
이장오 사무총장은 그 동안 정부가 덕유산, 치악산, 내장산 등에 골프장, 스키장, 횡단로 공사를 승인하면서 국립공원이 돌이킬 수 없이 훼손되어 왔다며 더 이상 정부 주도의 국립공원 훼손을 두고 볼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그는 민주공원 건립의 당위성은 인정하지만 수도권의 유일한 국립공원을 파괴하면서까지 묘역을 조성할 수는 없다고 했다.
“이미 북한산은 돌이킬 수 없이 훼손되어 있다. 보호구역이 없어 빼곡히 들어선 고층아파트가 조망권을 침해하고 있고, 서울외곽순환 8차선 도로공사가 터널을 뚫어 산을 동강내고 있다.”
그는 “해제된 부지에는 민가 뿐 아니라 밭과 계곡이 있는데 콘크리트 건물이 들어서면 생태계가 파괴된다”며 “전체 2만7,000평의 묘역이 조성되면 진달래능선 중턱에 놓인 등산로 2개를 폐쇄할 수 밖에 없고 1급수에서만 살 수 있는 가재와 버들치, 딱따구리와 같은 희귀생물이 살 곳을 잃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민주공원의 부지는 유가족들이 주장했던 당초 예정지 남산 옛 안기부터나 용산 가족공원, 아니면 서울 외곽으로 변경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공원을 짓는다면서 주민들의 여론을 전혀 수렴하지 않았다는 것이야말로 비민주적인 발상이 아닙니까?”
그는 또 국립공원 부지 해제를 결정한 국립공원위원회의 안건을 공개하지 않는 밀실행정을 비판하며 북한산 국립공원 지역의 생태계 보전가치를 다시 평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북한산 민주공원…묘역 7,000평 공원은 2만평
민주공원은 1999년 제정된 민주화운동 명예회복 및 보상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정부 차원에서 조성키로 결정하면서 추진됐다.
정부는 지난 해 4~9월 묘역 후보지 조사작업을 벌였으나 난항을 겪었고, 최근 청와대 주도로 4ㆍ19 묘역에 인접한 북한산 국립공원으로 부지가 결정됐다.
총 2만7,000평 중 7,000평에는 민주열사를 위한 묘역이 조성되고 나머지 2만평에는 추모공원이 들어선다.
정부는 당초 민주공원의 부지로 용산 가족공원, 남산의 옛 안기부터, 강남구 내곡동 대모산을 검토했다.
환경부는 20일 취락지구와 밭으로 생태계 훼손과는 관련이 없는 지역이라며 국립공원 내 부지 8,300평을 해제했다.
박은형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