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에서 TV토론을 놓고 여러 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은 유감이다.어느 후보는 출마자 전원참석을 요구하며 유력후보간 1대1 토론을 기피하고 있다느니, 어느 후보는 상대방의 과거들추기 공세를 우려해 토론에 소극적이라는 등의 얘기가 들리고 있다.
심지어는 공중파 방송이 주관하는 TV토론마저 성사여부가 우여곡절을 겪고 있다고 한다.
후보들이 TV토론을 미디어 정치의 필수과정으로 보는 게 아니라, 자신에 대한 유ㆍ불리라는 잣대를 갖고 전략적으로 접근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TV토론은 가급적 많은 게 좋고 후보들은 적극 임해야 한다. 그래야 후보의 검증이 보다 구체적으로 이뤄지고 후보간 상대평가가 가능하다.
자기편 만 모아놓고 상대후보를 비난하고, 일방적 공약만을 외쳐대는 후보연설회나 정당연설회는 TV토론으로 가급적 대체돼야 한다.
공직선거 및 선거부정방지법(선거법)이 공영방송(KBSㆍMBC)이 주관하는 TV토론을 의무화하고 있는 것도 같은 취지다.
선거법 82조 2는 시ㆍ도지사 선거는 1회 이상, 대통령 선거는 3회 이상 공영방송에 의한 TV 토론을 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최소한의 횟수로 SBS나 지역민방, 케이블 TV 등은 별도다. 선거법은 또 토론의 공정한 규칙마련을 위해 각계인사로 구성되는 선거방송 토론위원회를 설치토록 했다.
후보등록과 법정 선거운동이 시작되기 전부터 후보간 토론과 TV토론을 둘러싼 신경전이 적지 않았다.
토론을 주관하는 단체의 성향을 따지고, TV토론이 이뤄지는 정치환경 등을 감안하며 참석여부를 결정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지금은 후보가 유권자를 찾아 다녀야 하는 선거운동기간이다.
유권자를 안방에서 만나는 것 만큼 돈 안들이고 효율적인 선거운동 방식은 없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