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수준의 고급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도입된 두뇌한국(BK21)사업은 시작부터 시끄러웠다.각 대학의 치열한 로비와 지원대학 선정과정의 잡음, 특정학교 집중 지원과 이로 인한 대학과 지역의 서열화등 부작용이 지적됐다.
1999년부터 7년동안 매년 2,000여 억원씩 지원하는 이 사업은 연구예산이 부족한 우리나라 대학들로서는 사활이 걸린 일이었다.
경기대가 권노갑 전 민주당 고문(구속)을 대우교수로 임용하고 3,600만원을 준 것도 이런 맥락에서 읽어야 할 일이다.
BK21사업을 앞둔 1998년에 여권의 대표적 실세였던 권씨를 끌어들인 것은 “지원대상 선정에서 특혜를 받기 위한 것이 아니었다”는 대학측의 해명과 달리 의심받아 마땅한 일이다.
돈을 받은 혐의로 물러난 교육인적자원부의 고위간부를 한 달만에 조교수로 초빙하고 아태재단 관계자를 정교수로 임용한 사실도 드러났다.
이들 모두 강의는 하지 않았으니 로비인력이 아니면 무엇이겠는가. 비록 돌려주었다지만 권씨의 경우 2차례 특강을 한 대가가 3,600만원이었다. 권력실세의 영향력이 미치지 않은 분야가 하나도 없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은 주 40시간 이상 연구활동에 전념해야 하며 다른 직업을 가져서는 안된다. 그런데도 각 대학은 예산을 따낸 뒤 공돈 나눠먹기 식으로 부적격자들에게 분배했고 일부 학생들은 유흥비로 썼다.
오죽하면 대학 주변 업소들이 ‘BK특수’라는 말까지 했을까. 감사원이 지난 해 5월부터 5개월간 실시한 특감에서는 지원대상자 1만2,000여 명의 절반이 넘는 6,000여 명이 다른 직업을 가진 부적격자로 드러났다.
감사원의 특감은 교육부와 48개 국립대가 대상이었을뿐 사립대는 제외됐었다. 이번 일이 경기대만의 문제는 결코 아닐 것이다. 전반적으로 정밀점검할 필요가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