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 지지율,악재로 하락민주당 노무현(盧武鉉) 후보와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 후보의 지지율 격차가 점차 줄어드는 추세로 나타났다.
본보와 미디어리서치가 6일 공동 조사를 실시한 결과 양자대결에서 노 후보의 지지율은 44.7%로 이 후보(36.7%)보다 8.0%포인트 앞섰다. 지지후보 없음ㆍ무응답은 18.5%.
본보의 3월20일, 3월27일 조사에서 지지율 격차가 각각 15.2%포인트, 17.1%포인트였던 것에 비교하면 격차가 절반 정도로 줄었다.
4월9일 문화일보-TN소프레스 조사(26.7% 포인트 차)에 이어 4월15일 중앙일보 자체조사(27.9% 포인트 차)에서 두 후보의 지지율 차가 피크에 이른 뒤 점차 격차가 좁혀지는 추세다.
노 후보의 지지율이 가파르게 상승했다가 가파르게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는 데 비해 이 후보 지지율 수치는 35% 대에서 큰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다.
미디어리서치 김지연(金知演) 차장은 “여권 내의 잇단 비리 의혹사건과 노 후보의 YS 방문 등이 노 후보에게 악재로 작용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결과를 연령별로 보면 20대, 30대에서는 노 후보가 강세고 50대와 60세 이상에서는 이 후보 지지율이 높았다.
30대에서는 노 후보 54.1%, 이 후보 32.8%였으나, 50대에서는 이 후보 46.5% 노 후보 31.3%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 강원, 호남에서 노 후보 지지가 높았고, 영남권에선 이 후보가 강세였다. 경기ㆍ인천에서는 서로 비슷했고, 충청권에서는 노 후보가 5ㆍ7%포인트 차로 우세였다.
지지 후보를 변경한 응답자는 5.3%에 불과했는데, 이들 가운데 ‘이회창에서 노무현으로’(25.6%) ‘이인제에서 노무현으로’(25.5%) 변경한 경우가 전체의 절반 정도 차지했다.
당선 가능성에 대해서는 ‘한나라당의 정권교체’ 전망이 47.1%로 ‘민주당 재집권’(30.8%) 전망보다 16.3% 포인트 높았다.
3월27일 조사와 비교할 때 민주당 재집권 전망은 34.0%에서 3.2%포인트 줄고, 한나라당 정권교체 전망은 40.9%에서 6.2%포인트 높아졌다.
김광덕
kdkim@hk.co.kr
■영남시민 盧열기 식어
영남권에서 한나라당과 이회창 후보 지지는 큰 변화가 없는 반면 민주당과 노무현 후보의 지지는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이전 조사에서 노 후보에 대해 우호적인 흐름을 보여 변화 여부에 관심이 모아졌던 영남권 민심이 다시 노 후보와 민주당으로부터 멀어지는 게 아니냐는 해석을 낳고 있다.
잇딴 권력형 비리로 이 지역의 반DJ 정서가 깊어진 게 원인으로 지적된다.
양자대결 구도의 경우, 부산 울산 경남(PK)에서 노 후보는 31.8%로 3월27일(43%), 3월20일(41.9%)의 본보 조사에 비해 10% 포인트 이상 뒷걸음질 쳤다. 반면 이 후보는 46.3%로 이전(48.6%, 46.1%)과 거의 차이가 없었다.
노 후보의 하락추세는 두 후보간 순위가 바뀐 부산에서 뚜렷하다. 노 후보는 부산에서 31%로 이 후보(45.4%)에 크게 뒤졌다.
3월27일에는 노 후보가 46.4%로 이 후보(42.9%)를 앞섰고, 3월20일 조사 때도 48.8%로 이 후보(42.7%)보다 높았다.
대구 경북(TK)도 마찬가지였다. 이 후보는 55.9%의 지지율로 3월27일(47.4%)은 물론 3월20일(53%) 조사와 비교해 지지도가 더 올랐다. 반면 노 후보는 32%에 그쳐 3월27일(39.5%), 3월20일(34.2%) 조사에 비해 하락했다.
정당 지지도에선 TK의 한나라당, 민주당 지지도가 각각 44.6%, 13.7%로 종전과 큰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PK에선 민주당 지지도가 7.6%로 3월27일(23.1%)에 비해 많이 떨어졌다.
/이동국기자
■ "노무현, YS방문은 잘못" 61%
민주당 노무현 후보가 최근 김영삼(金泳三) 전 대통령을 찾아가 부산시장 후보 선정과 정계개편 협조를 요청한 데 대해서는 부정적 평가가 긍정 평가보다 2배 이상 높았다.
‘매우 잘한 일’(1.9%)과 ‘대체로 잘한 일’(24.5%)이란 응답을 합친 긍정평가는 26.4%에 그쳤다.
반면 ‘다소 잘못한 일’(45.2%) ‘매우 잘못한 일’(15.6%)을 더한 부정적 평가는 60.8%에 이르렀다. 모름ㆍ무응답은 12.8%였다.
노 후보 지지층에서도 긍정평가(38.2%)보다 부정평가(51.5%)가 더 높았다.
잘못했다는 평가는 40대(65.1%) 50대(65.7%)와 강원(74.4%) 대구ㆍ경북 (69.4%), 한나라당 지지층(72.9%)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잘했다는 평가는 호남권(50.6%), 민주당 지지층(47.4%), 블루칼라(39.9%)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노 후보가 추진하는 ‘신민주대연합’ 방식의 정계개편에 대해서도 반대의견이 61.7%로 찬성(25.2%)보다 훨씬 높았고, 모름ㆍ무응답은 13.0%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구ㆍ경북(71.0%) 부산ㆍ경남권(69.3%)을 비롯해 대부분 지역에서 반대 의견이 높았으나, 호남권에서는 찬성(59.7%)이 반대(36.2%)보다 높았다.
노 후보 지지층에서도 찬성(40.9%)보다 반대(48.2%)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광덕기자
kdkim@hk.co.kr
■"DJ 탈당 국면전환용" 52%
김대중 대통령의 민주당 탈당에 대해 잘했다는 평가가 66.1%로 잘못됐다는 평가(22.3%)의 3배가량 됐다.
이 같은 응답은 연령, 학력, 직업별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영ㆍ호남 간 편차는 뚜렷했다. 광주(93.1%), 전북(79.1%), 전남(79.0%)에선 잘했다는 응답이 평균치를 훨씬 상회했다.
반면 반DJ 정서가 강한 영남은 PK 61.3%, TK 62.9%로 잘 했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민주당 지지자 중 82.6%가, 한나라당 지지자 중 62.3%가 긍정 평가했다.
탈당에 대한 긍정 평가가 높은 것과는 달리 탈당 진의와 관련해서는 51.7%가 ‘국면 전환용 위장탈당’이라는 야당의 주장에 동의했다. ‘국정에 전념하기 위한 탈당’이라는 청와대측 입장에는 36.5%만이 동의했다.
국면 전환용이라는 응답은 60대에서 43.3%였으나 20대에선 58.1%까지 올라가는 등 젊을수록 많았다.
학력 별로도 중졸(41.3%), 고졸(50.1%), 대재 이상(58.9%) 등 고학력일수록 야당 주장에 많이 동조했다. 민주당 지지자(33.4%) 보다 배나 많은 한나라당 지지자(67.8%)들이 국면 전환용이라고 답변했다.
탈당이 민주당 노무현 후보에게 미칠 영향을 묻는 질문엔 49.2%가 ‘별 영향이 없을 것’으로 내다 봤다.
노 후보에게 유리할 것으로 본 응답자는 31.4%로 불리할 것(11.5%)이란 답변보다 많았다. 특이한 것은 광주 응답자들의 73.6%가 유리할 것으로 전망한 부분이다.
미디어리서치측은 “탈당이 노 후보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는 지역정서가 실린 것”이라고 분석했다.
탈당이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에게 미칠 영향을 묻는 질문 역시 ‘별 영향이 없을 것’이란 응답이 51.7%로 노 후보 조사와 차이가 없었다.
이 후보에게 유리할 것이란 답변은 20.2%로 불리할 것이란 응답(19.0%)과 차이가 없었다.
이동국기자
east@hk.co.kr
■"DJ아들 출두시켜야"
국민 중 대다수는 청와대와 검찰의 대통령 아들들 비리 의혹 처리에 대해 비판적인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청와대는 홍걸(弘傑)씨를 귀국시키고 의혹 있는 아들들을 검찰에 출두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72.6%를 차지했다.
반면 청와대의 공식 입장인 ‘검찰 수사를 지켜 보면서 아들 귀국, 검찰 출두 등을 결정해야 한다’는 데 찬성한 사람은 23.4%에 지나지 않았다.
홍걸씨 귀국과 아들들 검찰 출두를 촉구하는 의견은 50대 연령층(77.2%), 대재 이상 학력(76.3%), 강원(91.4%) 대구ㆍ경북(78.8%), 이회창 후보 지지층(79%)에서 상대적으로 많았다.
검찰의 대통령 아들들 비리 의혹 수사에 대해서는 ‘현재 판단하기는 힘들며 좀 더 지켜봐야 겠다’는 유보적 견해가 47.3%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의혹을 제대로 규명하지 않고 대충 넘기려 하고 있다’는 비판적 견해가 38.1%로, ‘의혹을 엄정하게 규명하기 위해 철저하게 수사하고 있다’는 긍정적 시각(12.9%)보다 훨씬 많아 검찰에 대한 국민의 불신이 여전함을 알게 했다.
‘대충 넘기려 한다’는 응답은 화이트칼라(43.7%), 30대 연령층(42.8%), 대재 이상 학력층(44.1%), PK지역(48.4%)에서 상대적으로 많았다.
신효섭기자
hsshi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