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역사왜곡 교과서 ‘최신 일본사’가 문부성 검정을 통과해 반일 감정을 격화시키고 있는 가운데 ‘우리 역사 교과서는 문제가 없는가’를 되짚어 보는 학자들의 움직임이 있어 주목을 끌고 있다.계간지 ‘당대비평’은 최근 우리 역사 교과서와 역사교육의 문제점을 진단하는 특별호 ‘기억과 역사의 투쟁’을 펴냈다.
지수걸 공주대 역사교육과 교수는 ‘민족과 근대의 이중주’란 글에서 자민족 중심주의에 빠진 한국 근현대사 연구를 비판하고 있다.
지 교수는 “현행 국정교과서인 ‘국사’는 ‘국가’‘정권’‘사회’의 위기를 구별하지 않고 모두 ‘국가 민족 위기’로 규정하고 있다”며 “그 극복 주체도 항상 ‘우리 나라’‘우리 민족’으로 초역사화하고 신성화시키면서 무조건적인 충성을 요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지 교수는 근ㆍ현대사 속의 모든 부정적 요인들을 모두 일제의 탓으로 돌리는 편협성에 대해서도 비판한다.
그는 “일제 제국주의를 지나치게 초역사화하여 역사 과정의 모든 부정성을 모조리 일제 탓으로 돌리는 식의 역사 서술은 여러 가지 자가당착적인 역사인식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하고 그 사례로 조선 후기 이래의 내재적 근대화가 일제침략으로 완전히 중단됐다는 역사 인식을 들었다.
임지현 한양대 사학과 교수는 시론 격인 ‘전유된 기억의 복원을 위하여’에서 “우리의 역사 연구가 한국인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국민을 만들려는 의도에서 출발한 것이라면, 일본의 역사 교과서에 대한 비판은 설 땅을 잃는다”고 비판했다.
일본의 교과서를 만든 주체나 한국의 비판 주체 모두 ‘민족적 정체성의 확립과 국민 만들기’라는 동일한 역사관을 공유하고 있다는 것이 임 교수의 분석이다.
윤해동 서울대 국사학과 강사는 기고에서 현행 국사 교과서의 국정 체제가 교과서를 절대시하는 경향을 낳는다고 지적한다.
그는 “역사 해석의 다원화 경향을 수용함으로써 민족사로서의 자국 중심주의적 역사 교육을 지양하고, 교육 현장에서의 자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자유 발행제 이외에는 대안이 없다”고 말했다.
김영화기자
yaah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