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이 세 아들의 비리 의혹으로 곤욕을 치르고 있는 현 상황은 김영삼(金泳三) 전 대통령이 아들 현철(賢哲)씨 문제로 궁지에 몰렸던 1997년과 아주 흡사하다.5년전 여당의 유력 대선후보 경선 주자였던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 전 총재와 민주당 대선 후보로 사실상 확정된 노무현(盧武鉉) 고문의 대통령 아들 문제에 대한 접근 방식엔 어떤 차이가 있을까.
이 전 총재의 경우 이른바 ‘한보 정국’ 돌파를 위해 자신을 신한국당 대표로 전격 발탁한 김 전대통령의 심중을 의식, 처음에는 매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97년 3월13일 대표 취임 연설에서는 이 문제를 전혀 언급하지 않았고, 이틀 후 사석에서는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를 생각해 보라”며 김 전 대통령이 직접 매듭을 풀도록 유도하는 선에서 자신의 역할을 찾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러나 4월 들어 한보 청문회 개최와 함께 현철씨에 대한 사법처리 여론이 비등해 지자 그는 “국민이 납득할 수 있도록 모든 의혹이 법과 논리에 따라 규명돼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정권에게 굉장한 부담이 될 것”이라며 강공으로 돌아섰다.
더 이상 사태를 방치했다가는 자신도 정권과 함께 공멸할지 모른다는 위기감이 작용한 것이다.
김 대통령 세 아들 문제는 현재 진행형이라는 점에서 노 고문의 접근 방식을 재단하기는 이르지만 지금까지는 의혹 규명의 당위성을 강조하되 김 대통령에게는 부담을 주지 않는 선에서 대응 수위를 조절하는 인상이다.
노 고문은 “검찰이 적당히 수사를 멈추거나 감출 상황이 아니다”(16일)면서도 “선거에 불리할 지 모른다는 잠재적 가능성 때문에 누구를 잡아넣으라는 식의 얘기는 하지 않겠다”(19일)고 선을 그었다. 23일에도 “검찰 수사를 좀더 지켜보자”고 말을 아꼈다.
나아가 노 고문은 24일 “대통령 후보가 간섭할 일이 아니며 국정운영의 책임과 권한을 가진 대통령이 문제를 풀어야 한다.
이 정부가 할 일은 할 것”이라며 아예 개입을 하지 않겠다는 듯한 자세를 취했다. 이에 대해서는 김 대통령이 모든 악재를 임기 내에 반드시 정리해야 한다는 압박성 메시지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유성식기자
ssyo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