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는 욕도 먹는다.말하고 싶지 않은 것을 말하라고 하고, 가만히 내버려두면 좋겠는데, 굳이 끄집어내 만천하에 공개하기도 한다.
그래서 때론 “너가 뭘 안다”고 라는 빈정거림도 듣는다.
나라도 기자가 찾아와 꼬치꼬치 물어보면 싫을 것 같다. 나는 남에게 싫은 소리 듣는 것만큼이나, 남이 싫다는 것을 억지로 밀어 붙이는 것도 좋아하지 않는다.
결코 원만하지 못하는 성격임에도 남들과 큰소리 내며 싸우는 일이 거의 없는 것도 다 그 때문이다. 그래서 누군가를 불편하게 할 때, 실은 나도 불편해 진다.
지난 주 ‘방송사가 음반기획사인가’ 라는 제목으로 악동클럽과 박고테에 관한 이야기를 쓰고도 그랬다.
방송이 사전에 홍보해 주고 음반이 나중에 발매되는 것은 분명 새로운 ‘상업전략’이었다.
아무리 음반 수익을 불우이웃돕기에 쓴다고 해도 방송으로서는 형평성 등 문제가 많았다. 기사는 그 점에 주목했다.
예상대로 기사가 실리고 나서 여기 저기서 욕을 먹었다. 취재를 응했던 양측 관계자 중 한 사람은 바로 그날 전화를 했고, 평소 잘 알고 지냈던 다른 사람은 메시지를 남겼다.
둘은 무례하지는 않았지만, 섭섭함을 토로했다.
특히 전부터 알고 지낸 사람은 “김 기자 때문에 회사에서 내 입장이 어땠는 지 아느냐”며 조치를 취해 달라고까지 했다.
일 때문에 생긴 불편함을 인간적으로 풀어야 하는 것이 내키진 않았지만, 그들에게 각각 ‘해명’을 했다.
내가 특정인이게 악의를 가지고 있다거나, 칭찬보다는 비판을 즐긴다는 오해를 심어주기 싫었기 때문이다.
당연히 할 말을 한 것인데 오히려 너무 미온적이었나 라는 생각과 그래도 내 기사 때문에 불편한 입장이 됐으니 미안하다는 생각이 교차했다.
이럴 때 “다음에 잘 써줄게, 다 그런 거지 뭘”이라고 둘러치거나, “기자를 뭘로 보느냐”며 먼저 더 크게 화를 내면 어떨까 싶은 생각도 없지 않았다. 하지만 그러기는 싫었다.
그런데 욕은 엉뚱한 곳에서도 들렸다. 나와 친한 가요관계자는 그 기사를 보고 “이도 저도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그로서는 싫은 소리 듣기 싫다는 무의식이, 한 발짝 떨어져 바라보는 건조한 내 글쓰기가 못마땅한 모양이다.
“도대체 어떻게 하라는 거야”라고 푸념하다 “이래저래 욕 많이 먹으니 오래는 살겠구만” 하고 지나가 버렸다.
늘 남 좋은 소리만 할 수 없는 직업이라면 피할 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앞으로도 싫은 소리를 더 많이 할 것이다.
모두 다 자기 잘났다 하고, 노리는 바는 딴데 있으면서 유난히 포장만은 그럴 듯하게 해 사람들을 현혹하는 대중문화계.
누군가의 말처럼 그곳은 아는 만큼 보인다. 늘 아름답고 좋은 것만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런 세상을 위해 나는 체질이 아니면서도 문제 있는 것을 문제 있다 말한다.
그 때문에 먹는 욕이라면, 달게는 아니라도 참고 꿀꺽 삼키는 수 밖에.
김지영기자
koshaq@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