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청계천 복원’이 핫이슈로 떠오르고 있다.이명박 한나라당 서울시장후보가 선거공약으로 내세우며 논의가 더욱 뜨겁게 전개되고 있는 상황이다.
민주당 김민석 후보는 부정적 신중론을 천명한 상태.
시민단체 ‘청계천 살리기 연구회’(이하 연구회)소속 전문가들은 청계천 복원을 위한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하며 복원의 타당성을 역설하고 있다.
반면 “수십년의 시간과 수십조원의 개발비가 들어가는 장기계획”비판도 나오는 등 반론도 만만치 않다.
▽사업비와 공사기간
청계천살리기 연구회가 추정한 청계천복원 비용은 공사비가 9,400억원, 경량전철사업비 약3,900억원, 재개발사업비와 보상비 약11조원 등 총 12조3,461억원이다.
개발기간은 5년이며 공사비용의 대부분은 도심재개발 수익으로 보전 이 가능하다고 보고있다.
이명박 후보는 훨씬 더 긍정적인 입장으로 “운하가 아니라 수심20~30㎝ 자연하천으로 복원한다면 총공사비 3,600억원, 공사기간 3년 6개월이면 충분하다”고 보고 있다.
재원도 현재 청계고가보수비용으로 책정된 1,000억원과 신청사 건립기금 1,400억원 등을 활용하면 된다는 생각이다.
한편 복원 반대론자들은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어가는 현실성이 없는 계획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6조2,000억원의 부채를 지고 있는 서울시로서는 추정 사업비 12조원을 조달하기는 불강능하다는 것이다.
여기에 재개발에 따른 상업ㆍ업무용 시설의 공급과잉 현상이 나타날 경우 지역 업체들이 큰 피해를 당할 수 있고 공사기간도 상가 세입자들이 보상금 등을 요구하며 버틸 경우 예상 밖으로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이상용 교통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청계천을 따라 주변 1㎞지역을 재개발한다는 것은 사실상 서울 강북 도심부 대부분을 재개발하겠다 무모한 발상”이라고 주장했다.
▽수원(水源) 확보ㆍ교통 대책
청계천을 자연하천으로 복원하는데 필요한 하루 유수량은 4만톤 정도이고, 배가 다닐 정도의 운하로 건설하는데는 6만톤으로 추산된다.
이명박 후보는 지하철 지하수 2만여톤과 중랑하수처리장에서 처리된 물 2만~4만톤을 끌어오면 물문제는 해결된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반대론자들은 이후보측이 제시한 지하철 지하수량이 과장돼 있다고 주장한다.
또 청계천은 이미 건천(乾川)이어서 복구하려면 더 많은 물이 필요하며, 물이 확보된다고 해도 수질유지에 많은 비용이 들어갈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청계고가 철거에 따른 교통대책에 관해서도 의견이 엇갈린다.
연구회는 “청계고가를 철거하더라도 청계천 남북단에 각각 2차로 도로를 건설하면 시속 19~22㎞ 정도의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명박 후보는 남북단도로를 각각 3차선으로 넓히는 것도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반면 서울시 관계자는 “청계고가는 종로 을지로에 비해 처리교통량이 3~4배 높다”며 “청계고가가 철거되면 현재도 포화상태인 주변 종로ㆍ을지로의 정체가 극심해질 것”이라고 지적한다.
이처럼 치열한 공방이 펼쳐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의 한 여론조사는 “서울시민의 75%가 청계천 복원을 찬성한다”는 결과를 내놓았다.
많은 시민들이 여러가지 어려움과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청계천을 옛모습으로 돌려놓고 싶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청계고가를 철거하고, 광교-평화시장-중랑천(7.8㎞) 구간의 복개하천을 복원하는 동시에 주변 18만2,972평을 재개발해야 하는 대역사인 청계천 복원 사업은 마치 이상과 현실의 갈등처럼 시민들에게 다가온다.
정영오기자
young5@hk.co.kr
■청계천로 어떤곳
‘청계천 복원론’이 회자되며 관심이 쏠리고 있는 청계천로는 엄청난 상권의 중심지답게 항상 활기가 넘치는 곳이다.
항상 그 시대 주도산업의 요람 역할을 해 온 청계천로는 1970~80년대는 가발, 의류산업이 유명했고 최근에는 패션산업이 세계 정상급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80년 이곳에서 자본금 1,000만원으로 시작한 삼보전자엔지니어링은 굴지의 삼보컴퓨터로 성장했고, 최근 첨단 발효기 바이오리엑터라를 국산화해 화제가 된 벤처기업 코바이텍도 청계천로의 품에서 자란 회사이다.
그러나 서울의 중심부이면서도 심각한 노후 건물 등 주거 환경이 열악해 인구는 75년 이후 계속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대부분 도심재개발구역으로 지정돼 건물의 신ㆍ증축이 제한된 이 지역의 영세상가 건물들은 도시미관을 해치는 주범으로 눈총 받고 있다.
입주 업체의 증가속도도 점점 둔화되고 있는 상태다.
이 지역의 재개발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많은 난제를 해결해야 한다. 그 중 가장 주의를 요하는 부분은 땅주인과 세입자들 사이에 복잡하게 얽힌 이해 관계이다.
지난해 서울시가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땅주인의 66.9%가 재개발에 찬성하고 있는 반면, 세입자는 50.2%가 반대하고 있다.
또 재개발구역 처리방법에 대해서 토지소유자는 “조속한 재개발”을, 세입자는 “재개발구역 해제”를 각각 원하고 있다.
이처럼 복잡한 양상 속에서 청계천 복원과 재개발문제는 새로운 시장이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로 급격히 부각되고 있다.
정영오기자
young5@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