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산지가 국산으로 표시된 한약재 12종에서 비소, 카드뮴등 유해 중금속이 세계보건기구(WHO) 권고치 이상으로 검출돼 파문이 일고 있다. 특히 일부 한약재에서는 DDT, BHC등 1960~70년대 사용중지된 맹독성 농약성분까지 기준치이상 나오자 생산자단체는 중국등 수입산일 가능성이 높다며 이의를 제기하는 등 국산여부에 대한 논란도 빚어지고 있다.국무총리실 산하 한국한의학연구원은 최근 서울 경동시장 한약상에서 수거한 국산표시 한약재에 대한 성분분석 결과, 인삼은 10개 제품중 6개에서 비소 함량이 WHO 권고치(1mg/kg이하)를 초과했다고 밝혔다. 또 사삼(더덕)은 10개 모두 비소의 권고치를 넘었으며 카드뮴도 7개가 권고치(0.3mg/kg이하)를 초과했다.
이밖에 황기를 제외한 갈근(칡뿌리) 길경(도라지)등 11개 품목도 대부분 비소와 카드뮴 권고치를 넘었다. 비소나 카드뮴은 신경마비나 폐질환을 야기하는 유해중금속이다.
연구원측은 “중금속 총함량이 30PPM을 넘지 않도록 한 현행법규정을 위배한 것은 아니지만, 개별 중금속은 인체에 유해한 수준으로 검출됐다”며 “개별 중금속의 기준치를 정하는 등의 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잔류농약 검사에서도 미삼은 10개중 3개가 알파-BHC 기준(0.2PPM)을 초과했다. 인삼과 사삼(더덕) 일부 제품에서는 DDT가 기준치(0.1PPM) 함량을 넘어섰다.
이에 대해 한국생약협회측은 길경, 반하, 사삼 등은 90%이상이 수입산으로 한의약연구원의 한약시료가 중국산일 가능성이 높다며 강력반발하고 있다.
생약협회 남정학(南正學) 전무는 “97년부터 수시로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에 의뢰, 성분조사를 하고 있으나 아무 이상이 없었다”면서 “사용이 중단된 DDT가 기준치 이상 검출된 것은 납득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정진황기자
jhchu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