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사상 처음으로 제주, 울산 두 곳에서 실험한 국민경선제는 폐쇄적이었던 정당 의사 결정 과정을 개방했다는 의미에도 불구하고 국민의 일반 여론과는 다른 결과를 보이는 한계를 드러냈다.두 지역 개표결과는 민주당의 '당심'과 일반 국민의 '표심'을 일치시킨다는 경선제 도입 취지와 의의를 부분적으로 밖에 구현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일부 후보의 두 지역 경선 득표율이 일반 국민대상 여론조사 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는 게 근거이다.
대표적인 예가 제주에서 26.1%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한 한화갑(韓和甲) 후보와 울산에서 27.8%의 득표율로 2위를 한 김중권(金重權) 후보이다. 7일 발표된 MBCㆍ갤럽의 전국 국민 여론조사에서 한 후보는 3.1%, 김 후보는 2.6%의 지지밖에 얻지 못했다.
반대로 김근태(金槿泰) 후보는 4%의 국민 지지도를 기록했지만 실제 득표율은 그것에 훨씬 못 미치는 제주 2.4%, 울산 1%였다.
당심과 표심의 부분적인 괴리는 국민선거인단 중 당원 대의원의 비율이 절반인 데서 비롯되는 측면이 크다. 이들 아무래도 조직과 각종 연(緣)에 좌우되기 쉬워 여론의 흐름과는 다른 투표 성향을 보일 수 있다.
이는 한ㆍ김두 후보처럼 대중성은 약하지만 당 또는 지역 기반이 강한 사람이 이변을 만들어낼 수 있는 요인이기도 하다. 물론 영남인 울산의 지역성도 한 몫을했다.
둘째로 정당정치에 대한국민 참여도를 높인다는 국민 경선제의 또 다른 도입 명분이 높은 투표 불참률로 적잖이 퇴색됐다는 지적이다. 국민선거인단 공모 단계에서는 응모율이 100대1을 넘어 ‘과열 동원’논란까지 있었지만 실제 투표율은 제주가 85.2%, 울산이 71.4%에 그쳤다.
민주당은 투표율을 높이기 위해 선거인단에게 일일이 참여의사를 확인한 다음 선거인단 명부를 확정했으나 만족스런 결과를 얻지 못했다.
따라서 여론의 흐름을 정확히 반영하는 선거인단의 투표 행태와 선거인단의 적극적인 투표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민주당의 전략 마련 여부가 앞으로 남은 14개 시ㆍ도 국민경선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열쇠라고 하겠다.
신효섭기자
hsshi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