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년 한국에 와서 가장 놀라웠던 것이 TV에 상업광고가 넘치고 있다는 것이었다. 스웨덴의 모든 방송은 공영방송이다.80년대 말부터 위성방송과 케이블방송을 통해 상업광고를 볼수 있었고 최근에 법이 바뀌면서 모든 방송에 광고가 허용되기는 했다.
하지만 이 광고들도 적은 예산으로 만들어져 그다지 사람들의 시선을 끌지도 못하고 주요 아이템은 여성용 탐폰, 세제, 햄버거 등이다. 이 곳에 오기 전까지 평생 본 광고가 채 10시간이 되지 않는 것 같다.
나는 TV와 라디오를 통해 방영되는 광고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신문의 대부분의 수입원도 광고이지만 스웨덴에 살면서 신문을 살 때도 광고섹션은 구입하지 않았다.
인터넷은 다소 차이가 있다. 나는 인터넷을 하루에 몇 시간씩 이용하는 편인데 노골적인 광고를 그다지 많이 발견하지 못한다. 아마 인터넷은 뉴스를 얻고 정보를 구하는 기능이 강한 매체이기 때문인 것 같다.
문제는 TV와 라디오 광고다. 이들은 내가 영화를 보거나 설거지를 할 때 즉각적으로 나의 거실까지 침투한다.
한국에선 영화를 보는 도중에도 종종 광고가 중간에 삽입된다. 나는 이것을‘예술작품’에 대한 일종의 모독이라고 생각한다.
소주광고가 작품을 조각 낸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 자금성의 석조건물 안내문에 쓰여진 ‘코카콜라제공’이라는 문구를 보았을 때도 이런 기분이 들었다.
이 문제에 대해 한국의 광고회사에 근무하는 사람들과 이야기 해 볼 기회가 있었는데 그들의 반응은 하나같이 “그렇다면 정부의 입김 아래 놓인 방송이 낫다는 말이냐”라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 역시 말이 안 된다. 공영방송이란 시청료로 운영되는 것이지 정부의 산하에 있는 것이 아니다.
제 아무리 대통령이라 해도 자신의 정치적 입장을 선전할 수 없고 검열도 있어서는 안된다. 시청료를 이유로 민영방송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결국 광고는 상품구매를 부추기기 마련이다.
최근에 TV 모 프로그램에서 패션소개프로그램을 보았는데 소비자에게 필요한 상품 정보보다 옷을 만든 회사에 대한 이야기가 더 많이 나왔다.
광고와 정보는 혼동되면 안된다. 이를 제대로 구분하는 것은 언론의 자유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어린이를 겨냥한 광고도 이해할 수 없다. 어린이는 광고와 선전용 프로파간다(propaganda) 를 구분할 수 없기 때문이다.
최근에 맥주 한 병을 사고는 비누를 공짜로 얻은 적이 있었고 치즈를 사러 갔다가 차 한 상자를 받기도 했다.
스웨덴에서는 이렇게 서로 관계가 없는 상품을 끼워 파는 것이 소비자 법상 금지되어 있다. 길거리의 도우미 활동도 마찬가지다.
서울에선 백화점 주변이나 이제 막문을 연 가게, 또는 휴대폰을 파는 곳에서 도우미들을 많이 볼 수 있다.
서울 곳곳에 흩어져 있는 이들의 숫자만 1만5,000명이나 된다고 한다. 한국인에게는 낯익은 풍경이지만 나 같은 이방인에게는 매우 낯선 모습인데 나는 이들을 보면 눈을 뗄 수가 없다. 이들의 아름다움 모습에 한 참을 멈추고 쳐다보기도 한다.
스웨덴에서는 자동차 광고에 노출이심한 여성이 등장할 수 없다. 여성과 자동차라는 상품과는 아무런 관련성이 없기 때문이다.
여성용 속옷을 광고한다면 모르겠지만. 스웨덴에서는 광고에여성을 등장시켜 구속된 업주도 있었다.
사건이 있은 후 여성단체 및 각종 정치 정당들은 이 업체를 상대로 강력하게 항의했는데 결국 업주는 ‘성희롱’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과하고 광고는 중단되었다.
스벤 울로프 울손ㆍ스웨덴인ㆍ한국외대 스칸디나비아어과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