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전체 면적의 2.2%는 지하수가 고갈될 가능성이 크고 5.8%는 지하수 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서울시정개발연구원 도시정보연구센터 김윤종 연구위원팀은 3일 서울시 지하수이용실태 조사와 지하수 관련 자료를 분석, 이 같은 내용의 연구보고서를 내놓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지역 전체면적 605.8㎢의 지하수 개발 가능량은 연간 1억6,800만톤(1996년 기준)으로 연간 이용량(99년 기준)이 3,740만톤인 것을 감안할 때 다소 여유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안양천과 중랑천을 중심으로 한 19개동 13.4㎢(서울의2.2%)의 지하수 이용량은 연간 499만9,000톤으로 연간 이용량의 13.4%에 달해 지하수 고갈 우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면적(550×440㎙)당 음용수 수질기준 부적합 관정이 5개 이상인 지역은 35.3㎢(서울의 5.8%)에 달했고, 수질기준 부적합 관정 11개 이상의 오염이 극심한 곳도 3.2㎢(서울의 0.5%)나 됐다.
보고서는 “이들 지하수 고갈지역이나 오염 발생 및 수질악화 지역을 지하수 개발제한지구 우선 대상지로 지정, 천재지변 등 특별한 경우나 대체수원 확보가 불가능한 경우 외에는 신규시설 설치나 지하수 사용을 제한하고 오염방지시설 강화나 오염관측정 설치를 명령하는 등의 관리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또 ‘처리하지 않고서도 공공음용수원으로 적합한’ 1급 지하수 지역 26.5㎢(서울의 4.4%)와 2급 지역 30.6㎢(서울의 5.0%)를 지하수보전지구 우선 대상지역으로 지정, 오ㆍ폐수 및 폐기물 관련 시설물 설치를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박석원기자
spar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