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오시는 분은 또 얼마나 계실까요?""차라리 (교육부총리는) 선출직으로하는 게 어떨까요!"
29일 개각으로 현정부 들어 무려 7번째 장관을 맞게 된 교육인적자원부 직원들의 푸념들이다.
일부직원은 "언론에서 교육장관이 너무자주 바뀐다고 꼬집기도 이제 식상하겠죠"라고 반문하면서 '교육장관 단명'을 자조하기도 했다.
그도 그럴 것이 역대 문교ㆍ교육 장관의 평균 재임기간은 1년3개월.
현 정권 들어서는 더 짧아졌다. 이날 물러난 한완상 부총리까지 교육장관 6명의 평균 재직기간은 8개월에 그쳤다.
1년 이상 자리를 지킨 경우는 이해찬 전 장관(1년2개월)과 한 부총리(1년) 단 2명에 불과하다.
김대중 대통령이 '교육대통령'을 자임하고 교육은 직접 챙기겠다고 다짐했기 때문일까. '교육장관은 1년이면 대성공'이라는 말이 나돌 정도가 됐다.
이 마당에 '교육은 백년 대계'라는 거창한 얘기를 들먹이자는 것은 아니다.
바꿀 사람을 교체하는 것은 인사의 당연한 원칙이기도 하다. 그러나 수능을 비롯한 잇딴 교육정책 실패로 만신창이가 된 교육부에 잦은 장관 물갈이는 약 보다는 독이다.
교육관리들이 '실패의 교훈'을 자성하고 교육현장을 보듬어야 할 시간에 '헌 칼 쓰듯' 신임장관 업무보고 파일을 꺼내고, 신임장관은 업무파악에 몰입하는 상황이 계절 바뀌듯 반복되고 있기 때문이다.
본지는 잦은 교육장관 교체에 대해 수차례 '기자의 눈'을 통해 문제점을 꼬집었다.
그 주기는 갈수록 짧아졌다. 다음번은 또 언제쯤 써야 할 지 갑갑증마저 앞선다. 교육장관 임기를 테마로 한 '기자의 눈'은 이번이 마지막이기를 기원할 뿐이다.
김성호 사회부기자
shki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