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여성단체의 최대 화두는 ‘정치참여’이다.6월 지방선거와 연말 대선 등 두 선거를 두차례나 앞둔 데다 지난해 여성부가 신설되고 모성보호법이 시행되는 등 여성계의 분위기가 한껏 고양되어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국회에서도 광역의원비례대표 명부에 여성을 50%이상 포함시키는 정치관계법 개정안 통과를 앞두고 있어 정치권의 분위기도 유례없이 우호적이다.
■여성단체들의 활발한 움직임
가장 적극적인 단체는 여성정치연대(공동대표 김모임 전 보건복지부장관)이다.
여성정치세력민주연대, 여성유권자연맹, 한국여성정치연맹이 뭉쳐 지난해 6월 발족한 이 단체는 12월 정치관계법 개정안을 국회에 청원했으며 올해는 정치연대 명의로 지방선거후보를 추천할 계획이다.
정우영 한국여성유권자연맹 사무총장은 “정치연대 자체의 후보들이 있다. 또 ‘여성단체의 도움을 받고 싶다’며 요청해 오는 일반 출마자들도 포함될 수 있다”고 말한다.
여성단체협의회(대표 은방희)는 “여성정치연대와는 별도로 각 시ㆍ도의 지부를 통해자체적으로 후보를 낼 계획”이라고 말한다.
유권자들의 인식개선을 위한 홍보사업도 활발하다.
여성부가 중앙선관위와 연계하여 기초의회에 출마하는 여성후보자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있다.
여성단체연합(대표 지은희)과 여성단체협의회는 공약집을 발간하여 후보자들이 여성관련정책을 공약으로 채택하도록 할 예정이다.
여성정치연대 측도 2~3월경 여성출마자를 위한 선거 가이드북 출간 콘서트나 바자회를 통한 재정마련행사등을 앞두고 있다.
■여성후보 진출가능성은 얼마나 되나
현재 우리나라 여성의 정치 참여율은 국회 5.9%, 기초의회 1.6% 수준이다. 전세계 여성 국회의원 평균 비율은 13.8%다.
여성개발원 김원홍 박사는 “광역의회 비례대표에 여성을 50%이상 공천하면 현재(46명)보다 2~3배는 더 늘어날 수 있다. 여성단체의 요구대로 지역구 공천에서도 30%이상이 여성에게 할당되면 이보다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여성단체가 마냥 자신감에 차 있는 것만은 아니다.
정우영 사무총장은 “지역감정이 가장 큰 문제”라고 말한다. ‘어디어디에는 절대 출마하지 않겠다’는 기피지역까지 꼽힌다.
여성 정당원의 비율이 평균 50%에 달한다지만, ‘과연 할당된 몫을 다 채울 수 있을 정도로 많은 후보자가 있을까’하는 회의적인 목소리도 들려온다.
그래서 여성단체들로서도 공동추천 후보들의 무소속 출마보다는 정당의 도움을 받는 방식을 유력하게 고려하고 있다.
여성후보들의 최대 취약점이 자금과 조직력이기 때문이다.
■왜 여성이 정치에 참여애야 하는가?
다국적 컨설팅회사 매킨지는 보고서를 통해 ‘여성인력의 활용은 한국이 2010년 세계 10위권의 선진국으로 진입하기 위한 절체절명의 과제’라고 지적했다.
유엔개발기구(UNDP)의 인간개발보고서에 따르면 정치행정 등 사회적 진출도를 나타내는 여성권한척도(GEM)에 있어 우리나라가 세계 70개국 중 63위에 불과하다.
‘깨끗하고 청렴하다. 지역생활정치는 누구보다 여성이 잘 할 수 있다’ 여성의 정치진출이 늘어나야 하는 이유로 흔히 들을 수 있는 답변이다.
하지만 ‘왜’라는 질문 자체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의견도 있다.
정우영 사무총장은 “여성복지를 증진시킬수 있는 정책을 누가 만들고 결정하겠는가. 결국 여성이다.”라고 말한다.
양은경기자
key@ 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