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한 고교 졸업생들의 이공계 기피현상이 심각한 수준이다.이는 장기적으로 국가 경쟁력을 크게 좀먹는 것으로 인문계 출신이 주요 공직을 독식하는 우리사회의 인력구조와 무관하지 않다.
우리사회에서는 이미 이공분야의 업무가 인문지식을 요구하는 업무보다 훨씬 더 많아졌다.
하지만 고위 공직에서 이공계 전공자의 임용 비율은 인문계출신에 비하여 현저히 낮다.
고급관료 중 9%만이 이공계 출신이고, 인문계와 기타 전공출신 고급공무원이 91%다.
정보통신, 기계기술, 건축, 토목 분야의 직무에서도 대부분 인문계전공 인력이 의사결정권을 갖고있다.
특히 기술력이 중요시되는 사회구조에서 고급 관료의 인문계 편중현상은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공계 기피현상은 기술기반 국가로 가야 하는 미래국가의 인력편성 방향과는 반대로 움직이는 것으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몇 가지 선결과제가 있다.
첫째, 기술고시 증원 등을 통해 이공계 출신 고급 관료비율을 높여야 한다.
둘째, 이공계 인적 자원의 국회 전문위원, 국회보좌관, 비서관 진출 비율을 늘려야 한다.
기술관련 내용의 법률안 입안과정에 이공계지식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셋째, 이공계 전공자가 남학생에 편중되는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
고교 진로지도에 있어서도 여학생들에게 인문계를 권하는 성(性)편식 현상이 뚜렷하다.
넷째, 이공계교수채용 때 여성비율을 획기적으로 확대해야 한다.
한국 공과대학에서는 여교수를 찾아보기가 힘들다.
다섯째, 여성 연구원들을 더 많이 채용해야 한다.
기업의 여성 엔지니어 비율은 너무 낮아서 통계를 만들기 조차 어렵다. 이공계를 전공한 여성 고급 관료도 찾기가 힘들다.
고급 공무원 중 여성 비율이 4.4%수준이고 그나마 이공계출신은 거의 없다.
이런 현상은 과거(科擧)제도가 시문송책 등 인문과목 위주의 시험제도였고 이바람에 '인문' 쪽이 우대를 받아온 풍토에서 비롯됐다는 생각이다.
이러한 전통이 일제시대와 해방이후까지 계속 이어졌고 인문계 인력들이 지금까지 국가 운영의 주도권을 잡게 된 것이다.
하지만 이제는 시대가 달라졌다. 인문계 전공자 편중구조로는 사회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없다. 이공계 분야에서 인문계 전공자가 정책을 결정하다 보니 전문성과 경쟁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이공계전공 인력이 국가, 지방 고위 공직에 더 많이 진출할 수 있는 방향으로 공직 인력 구조개편이 있어야 할 것이다.
/김농주 연세대 취업 담당관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