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협은 막판까지 계속됐고 노력은 헛되지 않았다.쇄신안이 최종 결정되는 7일 당무회의에 앞서 6일 심야까지 민주당은 상임고문단회의를 통해 절충을 벌여 결국 최대 쟁점이었던 전대 시기의 합의처리를 유도해 냈다.
역시 가장 큰 난관은 대선 후보선출시기였다. 한화갑(韓和甲) 고문은 개인 일정을 이유로 회의 도중 나가며 “협상을 제안했으나 별 반응을 얻지 못했다”고 말했다.
한 고문은 전대 시기를 지방선거 전으로 하되 지도부와 후보 선출을 2월과 4~5월로 분리하는 안을 냈다.
이에 앞서 쇄신연대는 이날 오후 2월과 5월 분리 전대안을 제안했다.
결국 상임고문단회의는 4월20일 안을 다수의견으로 택했고 표결 불사의 강경 분위기였던 한 고문 진영은 심야 대책회의를 통해 합의 처리 수용으로 전격 U턴했다.
원내총무와 정책위의장의 당연직 최고위원화 문제도 막판 장애물이었다. “대표의 권한을 너무 약화시켜선 안 된다”며 박상천(朴相千) 상임고문이 강하게 반대, 결국 정책위의장은 제외됐다. 그 밖의 쟁점 논의는 일사천리였다.
지도부ㆍ대선후보의 중복출마를 허용하고, 지방선거 지휘권(선거대책기구 구성권한)을 대선후보에서 지도부로 돌려주는 등 특대위 원안을 다소 수정한 안에 대해 고문단은 주저 없이 합의했다.
한 고문과 쇄신연대 등 비주류가 “표결 수용”으로 물러서자 주류측 역시 비주류측 주장을 수용한 것이다.
타협을 이루기 위한 막후접촉은 주말 내내 활발했다.
6일 한광옥(韓光玉) 대표와 김근태(金槿泰) 이인제(李仁濟) 고문은 한 버스를 타고 조계종 혜암 종정 영결식에 참석하고, 한 고문과 김원기(金元基) 정대철(鄭大哲) 고문, 쇄신연대가 각각 시내 호텔에서 회동했다.
5일엔 이인제 고문계인 원유철(元裕哲) 의원 등과 한화갑 고문계인 문희상(文喜相) 의원 등이 전화접촉을 가졌으나 별 성과는 없었다.
김희원기자
h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