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의 남북관계가 밝지 않다. 북한은 새해벽두 언론사 공동사설(신년사)에서 덕담은 고사하고 '반역행위'를 하지 말라고 남한에 으름장을 놓았다.지난해 이맘때 '신사고'를 선언한 것이 무색할 정도로, 안으로만 움츠려들 기세다.
남북 관계가 꼬인 1차적 원인으로 남북모두 미국의 대북강경정책을 꼽는 것 같다.
북한은 "새로운 전쟁의 위험이 커지는 상황에선 통일을 생각할 수 없다"고 단언했다.
우리 정부도 뚜렷한 대안은 제시하지 못한 채 "좀 더 지켜보자"는 말만 되풀이 한다.
분위기가 이렇다 보니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은 "서두르지 않되, 쉬지 말고 풀어 나가자"고 말했다.남은 임기 1년 동안 햇볕정책을 잘 마무리하겠다는 의미이지만, 일종의 '속도조절'이다.
그러나 남북이 국제 테러정세를 탓하며 '수동적'대응만 하고 있으면, 정상회담으로 어렵게 조성된신뢰관계가 후퇴할 수 밖에 없다.
남북관계는 테러정국에 따라 춤을 출것이다.
특히 남한이 양대선거 과정에서 북한을 정치적 논쟁거리로 삼을 경우 남북관계가 옛날로 돌아갈 수도 있다.
임오년은 '잔치의 해'다. 남한은 월드컵에, 북한은 김일성(金日成) 주석 90회 생일과 이를 기념하는 '아리랑'축제에 들떠있다.
홍순영(洪淳瑛) 통일부 장관의 표현대로 잔치의 기본은 '안전'이고, 이는 '대화'를 통해 보장된다.
남북은 지난해 9월 미국의 테러참사에도 불구하고 5차 장관급회담을 열었고, 많은 약속을 했다.
그러나 미국이 대테러전쟁을 시작되자 모든것이 물거품으로 변했다. 대외적 어려움을 대화로 극복해내는 지혜가 아쉽다.
이동준 정치부기자
dj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