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에 올바르게 대처하려면 우리 역사교육 현실에 대한 반성과 역사교육의 강화가 우선돼야 한다는 주장이 학계에서 제기됐다.최광식 고려대 교수는 5일 ‘바람직한 상고사교육의 방향’을 주제로 열린 단군학회(회장 김정배 고려대 총장) 학술대회 주제발표에서 “일본역사교과서 왜곡사건을 한국사, 특히 한국 상고사(上古史ㆍ단군에서 삼한시대까지의 역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새 역사교육방법을 모색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우리 역사교육이 너무 추상적이고 지나치게 민족적 특성만을 강조하는 측면이 있다”며 “일국사적(一國史的) 인 관점에서 벗어나 보편사적인 관점으로, 특히 동아시아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비교사적 관점을 갖고 역사를 서술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우리 역사교과서 검인정 제도에 대해서도 정부 주도로 집필과 편찬이 이루어지는 ‘1종 도서’라는 획일성 때문에 다양한 역사인식을 보여주지 못하고 학계의 새로운 연구성과를 수용하는 데도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한 권의 책에 담으려 하다 보니 서로 다른 견해를 절충해 짜깁기하는 해프닝이 벌어지고 있다”며 “민간에 맡기는 검인정(2종 도서)으로 다양화하고 한국사를 사회과에서 분리ㆍ독립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영훈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교수는 ‘최근 상고사 인식혼란실태와 그 수습방안’이라는 주제발표에서 “상고사에 대한 일반 국민의 인식이 매우 혼란스러운 것은 편사(編史) 당국과 주류 학계가 전개해 온 역사교육이 실패했거나 위기에 처해 있음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상고사에 대한 인식의 혼란은 궁극적으로 민족 정체성의 혼란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때문에 상고사에 대한 다양한 주장을 걸러낼 수 있는 토론의 장이 활성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서영대 인하대 교수는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한국 고대사 서술과 문제점’이란 논문에서 “일본 역사교과서의 왜곡은 근ㆍ현대사 부분이 심각하지만 고대사 부분도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라며 “우리 고대사에 대한 일본측 서술에 대해 치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서 교수는 특히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 문제는 끝난 것이 아니라 기회를 엿보며 내연(內燃)하고 있는 것”이라며 “교과서검정이 새로 실시되는 2003년 일본 극우 보수주의자들의 ‘복수’에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관심과 학문적 축척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철훈기자 chki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