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량 살상무기국 지목 불구 대북 강경전환은 아닌듯탈레반의 붕괴가 임박하고 미국이 대 테러전쟁을 이라크 등으로 확대할 가능성을 거론하고 있는 가운데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이 북한에 대해 대량 살상무기 확산 중지를 촉구하고 나서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부시 대통령은 26일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미국의 아프간전은 시작에 불과하다”면서 “테러지원국가들은 그에 따른 응분의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강력히 경고했다.그는 이어 “테러리스트들에게 은신처를 제공하거나 자금을 제공하는 자는 바로 테러리스트들과 같다”고 규정하고 “만약그들이 대량 살상무기를 개발한다면 그들은 이에 따른 응분의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시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지난 21일 켄터키주 포트 캠벨의 공수부대에서 “아프간전은 시작에 불과하다”며 확전가능성을 처음 시사한데 이어 보다 구체적으로 확전 의지를 내비친 것이다.
부시 정부에서는 개전 초기부터 이왕 ‘칼을 빼 든 김에 이라크등도 쳐야한다’는 강경론이 줄곧 제기돼왔다. 분위기만으로는 당장이라도 ‘제2차 걸프전’이라도 발발할 태세다.
하지만 현재까지 확전은 대의명분과 아랍권 등 국내외 여론 및 군사작전의 효율성 등 변수가 많아 결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특히 북한은 이라크 등 국가와는 상황이 상이하다. 비록 부시 대통령에 의해 대량 살상무기 개발국가의 반열로 지목되긴 했으나 미 국무부내에선 북한과 알 카에다의 직접적인 연계는 없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국무부 관계자들은 특히 뉴욕타임스 등 일부 언론의 북한 때리기와 부시 대통령의 언급이 대북정책자체가 갑자기 강경기조로 뒤 바뀐 결과는 아니라고 한국측에 해명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국무부의 동 아태라인 관계자도 지난주 제네바에서 열린 생물무기협약(BWC)회의에서 존 볼튼 국무차관이 북한을 이라크에 이어 2번째 생물무기 생산국으로 비난한 데 대해 “북한과의 대화복원 노력에 찬물을 끼얹은 행동”이라며 눈살을 찌뿌렸다는 후문이다.
워싱턴의 외교관계자는 "북한의 경우는 이라크 등에 대한 경고를 하는 과정에서 '끼워넣기'로 거명된 측면이 강하다"며 "실제로 부시 대통령의 언급도 기자의 질문에 답하는 과정에서 우발적으로 나온 것"이라고 전했다.
워싱턴=윤승용특파원
syyoo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