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다수 의원들이 즉각적 당정개편과 함께 대선후보 조기 가시화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일보는 민주당 의원들이 당정쇄신 및 대선후보 선출 시기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전화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에는 소속의원 118명 중 85명이 응했다.
여당의 개혁 성향 소장 의원들은 최근 여러 모임을 갖고 당정쇄신을 먼저 한 뒤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개최 문제를 논의하자는 입장을 보여왔다.
선(先) 당정개편 주장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는 점은 이번 조사에서도 확인됐다.
바람직한 당정개편 시기에 대해 전체 응답 의원 중 60%(51명) 가 즉각 실시를 지지했다. 정기국회 후 연말에 하자는 주장은 26명(30.5%) 으로 즉각 개편론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즉각 당정개편 주장은 지역과 선수에 관계 없이 많아 재ㆍ보선 참패에 따른 의원들의 충격을 잘 보여줬다.
즉각적 당정개편을 주장해온 개혁 성향 의원들은 설문조사 결과에 대해 “당연한 결과”라며 반색했으나 당 지도부와 동교동 구파는 부담을 느끼는 분위기였다.
재ㆍ보선 참패 뒤 제기됐던 대선 후보 조기 가시화론이 선(先) 당정쇄신론에 밀려 주춤하는 듯 했으나 실제 의원들의 여론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지방선거 전인 3~4월에 후보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를 개최하자는 의견이 48명으로 56.5%에 이르렀다.
지방선거 후인 7~8월에 전당대회를 열자는 주장은 20명으로 지방선거 전 개최론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에 따라 후보 선출 시기를 둘러싼 세 대결에서는 지방선거 전에 하자는 주장이 힘을 얻을 것 같다.
이인제(李仁濟) 노무현(盧武鉉) 최고위원 진영 등 후보 조기 가시화 주장을 펴온 세력들은 “지방선거 승리를 위해 내년 3~4월에 후보를 뽑자는 의견을 내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민주당의 한 당직자는 “의원들의 의견을 참고해 당정 개편 방향 및 대선후보 선출 시기를 검토할 것”이라며 “당은 특별기구를 구성해 국정쇄신 및 전당대회 개최 등의 정치 일정 문제를 병행 논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광덕기자
kdkim@hk.co.kr
■당정개편 실시 시기는?
‘당정개편 실시 시기는 언제가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해 의원들은 압도적으로 “즉각 해야 한다”고 대답했다.
85명 의원 중 60%에 해당하는 51명이 “이를수록 좋다” “이미늦었다” “마지막 기회” “재ㆍ보선패배를 책임져야 할 것 아닌가”라는 반응이었다.
반면 30.5%에 해당하는 26명이“인사는 급하게 한다고 될 일이 아니다”라며 “정기국회 후 연말이 적당하다”고 답했다.
지역별 답변 분포는 수도권 의원의 66.6%, 호남권과 전국구 의원의 55%가‘즉각 쇄신’을 대답, 평균 수준 안팎에 머물렀다.
다만 충청권의원들은 ‘즉각 쇄신’(40%)보다 ‘정기국회후 연말’(60%)을 선호하는 것으로 드러나 대조됐다.
후보선출 때까지 현 구도를 유지하기 원하는 이인제(李仁濟)최고위원의 내심이 투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선수별로는 초·재선 의원들이 평균 수준으로 '즉각 쇄신'을 희망한 데 비해 3선 이상 의원들은 47.3%인 9명만이 '즉각 쇄신'을 선호했다.'불필요'답변을 한 의원 중에선 "후보선출 때 자연스럽게 개편될 것"이라는 반응과 "바꿔 보았자 역시 그 인물"이라는 냉소적 반응이 섞여 있었다.
김희원기자
hee@hk.co.kr
■후보선출 全大는?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시기’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56%(48명)이 ‘내년 6월 지방선거전에 전당대회를 치러야 한다’고 답변했다.
지방선거 이후인 내년 7~8월전당대회를 선호한 의원은 전체 응답자의 23%인 20명으로 나타났고, ‘좀 더 지켜보겠다’고 답변을 유보한 의원들은 20%(17명)였다.
지역구 별로는 수도권의 경우 조기 전대를 원하는 의원이 61%인 반면, 지방 선거가 끝난 뒤 전대를 치르자는 의원은 24%에 불과했다.
특히 충청권은 전체 응답자 5명 모두가 조기 전대를 희망, 이인제(李仁濟) 최고위원측의 입장을 여실히 대변했다.
호남권도 전체 20명 중 절반인 10명이 조기 전대를 치러야 한다고 답했다.
내년 7~8월 전당대회를 지지한 의원들은 “후보가 조기에 가시화될 경우 대통령의 레임덕현상이 우려된다”, “대선후보를 중심으로 지방선거를 치르다 패배하면 정권재창출이 불가능하다”등의 이유를 제시했다.
답변을 유보한 의원들 가운데는 “지금은 당정쇄신이 시급하다”라고 답한 의원들이 많았고, “당론에 따르겠다”는 의원들도 적지 않았다.
초선의원 중 ‘조기 전대’를 주장한 의원이 58%인 반면, 재선ㆍ3선 이상의 중진급 의원들은 절반에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나 대조를 이뤘다.
초선의원 중 ‘조기 전대’를 주장한 의원이 58%인 반면, 재선ㆍ3선 이상의 중진급 의원들은 절반에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나 대조를 이뤘다. 동교동계 중 ‘구파’는 지방선거 전후가 각각 절반이었으나, ‘신파’는 지방선거후 전대 실시론이 대부분이었다.
박정철기자
parkjc@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