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은 출산율과 고령화사회 진입,전통적인 가족관계 해체 가속화.'통계청이 25일 발표한 ‘2000년 인구주택 총조사’결과는 출산율은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가운데, 고령화로인한 연금 및 재정고갈, 국가노동력 감소문제 등이 향후 국가경제에 심각한 현안으로 등장할 것임을 경고하고 있다.
이로인해 청장년층의 노인부양 부담도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향후 경제활동이 위축되지 않도록 고령자들을 위한 일자리창출 등 대비책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와함께 이혼율이 증가하고, 결혼적령기에 있는 사람들이 결혼을 미루는 경향도 확산되면서 전통적인 가족관계도 해체되고 있음을 뚜렷이 보여주고 있다.
■ 일할 사람이 줄어든다
이번 조사의 가장 큰 특징은 출산율이 낮아지는 가운데 고령인구는 급속히 증가하고있는 점. 고령인구는 337만2,000명으로 27.7%나 크게 증가한 반면, 청장년 인구는 3,297만3,000명으로 4.1% 소폭 증가하는 데그쳤다.
청장년층 인구증가추세는 80년이후 크게 둔화돼 향후 노동인력 부족현상이 심화할 것으로 우려된다. 15세미만 유소년 인구도 963만9,000명으로5년전에 비해 5.8%나 감소했다. 고령인구 비중은 전체인구의 7.3%로 5년전(5.9%)에 비해 1.4%포인트나 상승했다.
이로인해 전체인구를 나이순으로 세웠을 때 중간에 서있는 사람의 나이를 의미하는 중위연령은 29.7세에서 32세로, 고령인구 대 유소년 인구비를 나타내는 노령화지수는 25.8에서 35.0으로 껑충 뛰었다. 노령화지수가 30이상이면 고령인구사회로 분류되고 있다.
고령화사회가 진전되면서 청장년 인구의 부양부담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95년의 경우 청장년 12명이 노인 1명을부양했으나, 2000년에는 9.8명으로 감소했다. 2020년에는 청장년 5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보건사회연구원 변재관(卞在寬)노인ㆍ장애인정책 개발센터소장은 “고령인구 문제를특수계층 문제로만 다룰 경우 서유럽 복지국가들이 경험했던 것처럼 연금 및 의료보험 고갈 등으로 국가 전체가 심각한 위협을 받을 것”이라며“ 저소득층노인에 대한 정부 및 지자체등의 사회적 책임 강화와 함께 활동 가능한 노인들에 대한 고용기회를 늘려 국가생산력 감소문제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 수도권 인구집중 심화
수도권 인구비중은 갈수록 심화, 우리나라 절반가량이 수도권에 몰려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인구는 989만5,000명으로 전체의 21.4%를 차지했으며, 인천과 경기를 포함한 수도권인구(2,135만4,000명)는 46.3%로 5년전보다 1%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농촌지역인 면지역은 1.5%포인트 감소했다.특히 경기도는 전국 인구증가분(152만7,000명)중 87.4%나 차지했다.
인구밀도는 1㎢당 462명으로 5년전보다 13명 늘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시 양천구가 2만6,401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강원도 인제군은 19명으로 가장 낮았다. 우리나라의 인구밀도는 방글라데시(897명), 대만(617명)등에 이어 세계3번째를 기록했다.
국민들의 학력이 높아지고있는 점도 두드러졌다. 국민들의 평균교육 연수는 지난해 10.59년으로 90년 9.54년, 95년 10.25년보다 높아졌다. 이는 국민들이 평균 고등학교 2학년 수준의 교육을 받았다는 것을 뜻한다.
특히 학교에서의 ‘왕따’ 두려움 등으로 6세연령의 재학률이 36.2%에서 31.3%로 감소하는등 초등학교 조기입학 경향이 사라지고 있는 점도 눈길을 끈다.
■ 이혼율증가 등 가족 해체가속화
이혼율이 상승하는 등 전통적인 가족제도가 위협받고 있는 점도 눈길을 끌고 있다. 이혼율은 95년의 0.9% 에서 1.9%로 증가했으며, 25세이상의 전 연령층에서 고르게 늘어나는 특징을 보였다.
연령대별로 보면 중년층인45~49세가 4.4%로 가장 높았으며, 40~44세가 4.3%, 50~54세가 3.7%로 그 뒤를 이었다.
미혼율은 25~30세에서 8.6%, 31~34세에서 6.3%가 증가하는 등 늦게결혼하는 풍조가 확산되고, 독신인구가 늘어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이의춘기자
ec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