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전쟁 수준의 보복을 선언했다.유례없이 가혹한 테러 공격을 전쟁 행위로 규정한 당연한 귀결이다.나라의 심장부가 초토화하고 수만명이 죽고 다친 피해 국가에 보복과 응징은 정당한권리이자 국민에 대한 의무일 수 있다. 국민 다수가 전쟁도 마다 않는 격앙된 상태이고, 세계 여론도 테러를 함께 규탄하는 상황에서 감히 가로막고나설 명분도 쓸모도 없어 보인다.
그러나 아무리 테러 행위가 가증스럽더라도,그에 대한 응징은 이성과 합리에 바탕해야 한다고 본다.
테러 공격을 반 문명적이라고 규탄한다면, 그 대응은 문명적 기준과 절제를 지켜야 한다는 얘기다.
격정과 보복심리가 지배하는 ‘전쟁 상황’에서 황당하게 들릴지 모르나, 테러와의 전쟁이 진실로 문명과 야만의 대결이라면 결코 부당한 요구가 아닐 것이다.
미국은 수사 초기단계에서 이미 사우디출신 오사마 빈 라덴을 테러 배후로 단정하고, 그가 은신한 아프가니스탄을 테러 지원국으로 규정할 태세다.
이런 전제에서 먼저 아프가니스탄에 공습을 단행하고, 이어 대규모 지상병력으로 빈 라덴의 은신 거점 등을 공격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나토 회원국의 지지 결의를 받았고, 필요한 전력을 집결시키고 있다.
이런 방식의 테러와의 전쟁은 손상된 자존심 회복에 기여할지 모른다. 그러나 테러와 보복의 악순환을 끊을 수는 없다는 지적에 귀 기울여야 한다.
유엔 결의가 범죄행위로 규정한 테러범에대한 응징은 엄격한 증거에 바탕한 사법적 제재가 원칙이다.
이번 테러는 이 원칙을 돌아볼 겨를조차 없게 하지만, 민간인 피해가 불가피할 아프가니스탄공습마저 정당화할 수는 없다.
반 인류적 테러를 응징하기 위해비 인도적인 무차별 공습을 단행하는 것은 테러의 근본에 도사린 증오심을 다시 키울 것이란 지적이다.
이런 바탕에서 미국이 만든 악의상징을 제거하더라도 미국에 반발하는 세력은 스스로 새로운 상징을 만들 것이라는 경고가 나온다.
이스라엘에 편향된 중동 정책 등에서 비롯된 증오의근원을 없애지 않고는 약한 자의 최후 수단인 테러를 막을 수 없다는 것이다.
미국과 서구가 이슬람권의 테러 응징을 문명과 야만, 선과 악의 대결로규정하는 것 조차 갈등과 대결을 재촉하는 어리석은 오만으로 비판된다.
테러 위협에 대한 최선의 방책은 전쟁 수준의 보복이 아니라, 문명 수준에 걸맞은 정의를 국제 사회에서 구현하려는 노력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