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11일 플로리다주에서 자신의 교육개혁정책에 대해 연설을 하던 중 동시 다발 테러 사건을 보고 받고 즉각 전군에 비상 경계령을 내리는 등 단호한 조치를 취해 일단 사태수습과정에서 나름대로의 지도력을 발휘했다.하지만 미국 언론들은 이번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지 못한 책임론을 거론하며 취임 8개월을 맞은 부시 대통령으로서는 최대의 정치적 위기를 맞고 있다고 지적했다.
워싱턴 포스트는 12일자 해설기사에서 “부시 정부가 취임 후 취해온 미국 국익우선주의와 일방적 외교 정책등을 재검토해야만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CNN등 주요 방송에 출연한 국제 정치학자들은 구체적으로 미사일방어(MD)체제 추진계획과 교토(京都)의 정서 파기 등 부시 정부의 오만한 외교정책이 국제적인 고립을 자초하며 테러의 빌미를 제공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슬람 과격파의 테러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부시 정부의 중동외교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부시 정부 등장이후 중동에서는 강력한 군사력를 앞세운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에 대해 고압적인 정책을 구사하는 과정에서 팔레스타인측의 자살테러 공격과 이에 대한 이스라엘의 보복이라는 악순환이 반복되면서 위기감이 고조돼 왔었다.
이 과정에서 이스라엘에 대한 일방적인 지원을 해온 미국에 대한 적개심이 높아지면서 또 다른 형태의 테러위험이 제기돼 왔다.
더구나 최근 남아공 더반에서 열린 유엔 인종차별철폐회의에서 아랍 연맹측의 반시오니즘적 태도에 반발해 미국측이 대표단을 철수하자 이 같은 반미의식은 최고조에 달했다.
또 부시 정부 국방정책의 상징이라 할 MD 체제도 도마에 오를 가능성이 크다. 도널드럼스펠드 국방부 장관 등 국방 관계자들은 북한, 이라크 등 ‘깡패 국가들’로부터 미국 본토를 보호하기 위해 MD 체제의 구축이 시급하다고 역설해왔다.
그러나 이번 사태로 아직 구체적으로 검증도 되지않은 깡패 국가들의 미사일 공격보다는 미국내에서의 국지적 테러 공격이 훨씬 더 위협적이라는 사실이 입증됐다.
외부로부터 날아오는 미사일을 방어하는 것보다 안방에서의 테러에 국민의 안전이 더 많이 노출돼있다는 것이다.
민주당의 톰 대슐 상원 원내총무와 리처드 게파트 하원 원내총무 등은 이날 오후 의사당에 모여 ‘초당적 협력’을 다짐했지만 사태가 어느 정도 해결되면 이번 사태를 유발한 책임론을 거론할 게 분명하다.
워싱턴=윤승용특파원
syyoo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