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 총재의 7일 여야 영수회담 역제의는 정국 주도권의 지속적 확보를 위한 착점(着點)이다.이 총재는 임 장관의 해임건의안 통과가 확실시되면서부터 향후 정국대응 기조를‘큰 틀의 정치’로 설정해 놓은 상태였다.
핵심 당직자들 사이에선 꽤 오래 전부터 “DJP공조가 붕괴돼 여소야대 상황이 되면 야당도 국정운영의 책임을 공유해야 한다.
민생과 경제에 관한 한 초당적 협력을 해나가야 하며, 이 총재가 주도적으로 영수회담을 성사시켜야 한다”는 공감대가 이뤄져 있었다.
같은 맥락에서 이 총재와 당 지도부는 ‘더 이상의 정국혼란은 야당에 득 될 게 없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
이한동(李漢東) 총리 유임이 결정되기 전 상당수 당직자들은 “큰 흠결이 없는 사람이 총리에 지명되면 인사청문회는 물론이고 인준 표결도 무난하게 넘어가 줘야 한다”는 말까지 공공연하게 했을 정도다.
한나라당은 김대중 대통령이 이한동 총리 유임이라는악수 중의 악수를 둔 만큼 더 이상 여권을 압박할 필요도, 그럴 이유도 없다고 보고 있다.
당 지도부가 이재오(李在五) 총무의 ‘이한동 총리 해임건의안 검토’언급을 부랴부랴 틀어막은 연유다.
여야영수의 대좌는 그러나 이 총재의 국가원로 및 정치ㆍ사회지도자 연쇄면담 이후에 가능할 전망이다. 이 총재 자신 일의 선후를 그렇게 잡고 있는데다,
여권 역시 당정개편 후속 인선과 민주당 내부 정리 등에 일정한 시간이 필요한 까닭이다.
홍희곤기자
hgho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