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최대의 종합철강 시설인 김책(金策)제철소가 다시 굴뚝 연기를 피울 수 있을까. 김정일(金正日) 북한 국방위원장의 방러 목적 중 하나는 러시아와의 경제협력 복원이다. 북한은 특히 러시아측이 옛 소련 시절 북한에 건설한 산업시설을 현대화하고 전력을 제공해 줄 것을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러시아는‘지원’을 호소하는 북한에 정상적인 ‘교역’을 요구하고 있다.▼김책제철소=과거 소련이 지원한 북한의 주요 산업시설은 10여 곳으로 파악된다. 이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김일성(金日成) 주석이 “만부하만가동(滿負荷滿稼動ㆍ정상생산)이 안되면 잠을이룰 수 없다”며 애착을 가졌던 김책제철소. 한때 남한의 포항제철에 비견됐던 이 제철소는 그러나 김 주석 사후 러시아의 코크스 지원 중단으로 가동이 중단됐다.
철 생산이 여의치 않자 북한 경제의 중추인 군수산업이 휘청거렸다. 김 위원장은 이번에 김책제철소 복원 문제를 양국간 경협의 최우선 과제로삼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화답하듯, 러시아는 최근 김 위원장의 방러에 맞춰 코크스 2,000톤을 수출했다. 하지만 과거 소련이 매년 제공하던20만톤과 비교하면 그야말로 ‘맛보기’ 수준이다.
▼전력과 철도=북측은 러시아가 연해주 지역에서 직접 송전을 해주거나 발전소 건설을지원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전력은 북측이 북미대화의 선결 의제로 내세울 정도로 시급한 문제. 하지만 러시아는기술지원은 가능하나, 재정지원은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북한이 이 같은 러시아의 경협 원칙에 대응할 카드는 시베리아횡단철도(TSR)와 한반도종단철도(TKR)연결사업이 거의 유일하다. 러시아는 남한상품의 유럽진출에 따른 ‘통과세’수입이 생기는 이 사업을 위해 북한 내 철도시설의 현대화를 지원할 수도있다고 밝히고 있다. 김용삼 북한 철도상이 김 위원장 보다 앞서 방러, 현재 실무 협상을 벌이고 있다.
▼북러 교역 확대=지난해 북한의 대러 교역총액은전년 대비 7.7% 감소한 4,628만달러에 불과했다. 러시아 트럭제작업체 ‘카마즈’가 27일 북한에 트럭 수출을재개하는 등 김 위원장의 방러를 계기로 교역확대가 점쳐지기도 한다.
그러나 러시아가 경화 결제 원칙을 고수하는 이상 교역 규모가 1980년대 수준으로회복하기는 어렵다는 게 일반적 분석이다. 러시아는 김 위원장의 방러를 계기로 북한정권 수립일인 9월9일 ‘인도적’ 차원에서 곡물 수천톤을TSR를 이용, 북한에 지원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동준기자
dj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